연말까지 63명 줄여야 2000년까지 대기발령으로 관리
지방공무원 92명을 감축하고 5개과를 폐지하는 등의 지방행정 조직개편 지침 확정에 따른 조직개편 작업에 들어가 공무원들은 물론 군민들의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번 개편계획이 알려지자 공직사회는 조직개편에 따른 감축계획에 크게 동요, 신분불안에 따른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조직개편의 향방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보은군 지방공무원의 정원을 현행 672명에서 92명이 감축된 580명으로 줄면서 올해 안에 퇴직한 공무원을 포함 올 연말까지 10명이 퇴임 또는 공로연수에 들어가고 정원의 결원 인원 19명 등 자연감소 인원 29명을 제외한 63명은 대기발령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행정자치부 마련한 기구와 인력을 대폭 감축하는 것을 골자로 한 지방조직 개편 지침을 보면 보은군은 현재의 14개 실과에서 5개과를 감축 9개과 규모로 축소하고 현재의 과-계 중심으로 운영되는 조직도 과-팀 중심으로 바꾸고 개인책임제(담당)가 도입된다.
또 1읍 10면의 경우 행정기구는 그대로 두되 부읍·면장제를 폐지하고 읍·면장 아래 팀제로 운영한다. 이중 농촌지도소의 경우 본청의 농업관련 분야와 흡수 통합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으며 보건소의 조직도 축소하되 보건지소와 보건진료소의 통합이 검토되고 있다. 환경사업소는 민간위탁 또는 본청에 흡수 통합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으며 의회사무 기구는 현행대로 존치하되 정원의 기본인력만 감축한다.
여기에 조직개편에 따라 남아도는 직원은 2000년까지만 과원을 인정한다는 방침에 따라 보은군 정원 672명 중 13.63%에 해당하는 92명을 감축해야 하고 이들은 2000년 12월말까지만 과원으로 인정, 대기발령시키고 인사부서에서 관리하기로 했다. 이와함께 상용직과, 사업인부 등 비정규직원은 2000년 12월말까지 전원 감원하고 향후 상용 및 사업인부는 일체 채용하지 않기로 했으며 수로원, 미화요원, 청원경찰 등 단순노무인력은 30%정도 감원할 계획이다.
이같은 조직개편은 자치단체를 생산성 높은 고효율 자치경영 조직으로 탈바꿈시키고 기존의 조직관념을 자리와 사람중심에서 기능과 일 중심으로 바꿔 조직에 경쟁원리를 도입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공무원들은 행자부의 지침에 따른 숫자줄이기에 급급할 것이 아니라 부서별 직무를 분석하는 등 정밀한 조직진단과 평가, 지역여건을 감안하는 기준이 있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한편 군은 7월말까지 조직개편안을 확정하고 8월 중 행정기구 설치 조례와 공무원 정원조례 등 법령을 정비한 후 곧바로 시행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보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