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성들 선왕의 비 주심을 기뻐하고 : 太宗雨 / 매하 최영년
상태바
백성들 선왕의 비 주심을 기뻐하고 : 太宗雨 / 매하 최영년
  • 장희구 (시조시인 문학평론가)
  • 승인 2018.03.08 15: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시 향 머금은 번안시조【143】

정월이면 어촌에서는 일년동안 고기를 많이 잡게 해 달라고 풍어제를 지낸다. 농촌에서는 일년 농사가 잘되게 해달라고 풍년제를 지낸다. 추석이면 어김없이 추수감사절을 지낸다. 삶의 모습은 보살펴 주시는 하늘에 감사하는 나약한 인간의 마음인지 모르는 일이다. 비가 오지 않아 타들어간 곡식을 걱정하며 하늘에 기우제를 지냈다. 임금이 하늘에 제사지냄에 따라 비가 내렸다는 전하는 것을 보고 읊었던 시 한 수를 번안해 본다.

왕께서 하신 말씀 단비를 주마시더니
밝은 멧부리 우레 소리 단비가 내려오니
백성들 비내림 기뻐하며 그 때되면 지금까지.
王言去作人間雨    赤日千峰忽送雷
왕언거작인간우    적일천봉홀송뇌
萬民感喜先王賜    五百年中年年來
만민감희선왕사    오백연중년년래

백성들 선왕의 비 주심을 기뻐하며(太宗雨)로 번역해본 칠언절구다. 작자는 매하(梅下) 최영년(崔永年:1856~1935)이다. 교육자·언론인·문인이다. 갑오개혁 후 시흥학교를 설립하고 [제국신문]을 주재했다. 설화집 [실사총담]과 악부시집 [해동죽지] 등을 저술하여 민족 계몽에 힘썼다. [추월색(秋月色)]의 작가인 최찬식(崔瓚植)의 부친이다. 위 한시 원문을 번역하면 [왕의 말씀 비를 주마시더니 / 밝은 멧부리 우레 소리 울려온다 // 백성들은 모두 다 선왕의 주심을 기뻐하고 / 오백년 뒤 지금까지 해마다 오네]라는 시상이다.
위 시제는 [태종우 내림을 보면서]로 번역된다. 비가 오지 않고 가뭄이 들면 온 나라가 백성들이 나서서 비를 기다린다. 조선초 가뭄이 들어 태종이 친히 나가 기우제를 지냈더니 곧 바로 비가 내렸다는 전설 같은 이야기가 전한다. 농사짓는 5월에, 온 나라 백성이 비를 기다리는 농사철에 내리는 단비를 태종우(太宗雨)라 했다.
시인도 단비를 간곡히 기다렸던 모양이다. 태종왕께서 이 나라 백성들을 굽어 살피사 비를 주마시던 그 약속을 저바리지 않고, 멀리서 밝은 멧부리 같은 우레 소리가 들린다. ‘우르릉 쾅쾅’ 지축을 흔드는 반가운 소리다. 시인의 귀에는 마치 ‘내 약속했던 비를 주리라. 농사짓는데 보탬이 되도록 하라’라는 계시가 들렸는지 모른다.
화자는 ‘이제 됐다. 선왕이 이 나라 백성을 굽어 살피사 이제 비를 주신 것이다’라고 기뻐했을 것이다. 기쁨에 찬 나머지 오백년 왕업을 이어오는 동안 한 번도 거르는 일이 없다는 시상을 함께 일으키며 기뻐하게 된다.
【한자와 어구】
王言: 왕의 말씀. 去作: 예전에. 人間雨: 인간에게 비를 주다.  赤日: 밝은 날. 千峰: 멧부리. 忽送雷: 홀연히 우렛소리가 들린다. // 萬民: 모든 백성들이 感喜: 감동하여 즐거워하다. 先王賜: 선왕이 주신 것이다. 五百年中: 오백년 가운데. 年年來: 해마다 온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