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가 임금 대신 채권양도를 받은 후 못 받은 임금 청구 사건
상태바
근로자가 임금 대신 채권양도를 받은 후 못 받은 임금 청구 사건
  • 변호사 김기윤
  • 승인 2012.11.01 17: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알쏭달쏭 판례이야기
사실관계

박C는 보은농공단지에 있는 A주식회사에서 퇴직하게 되었습니다. A주식회사는 박C에게 회사의 경영이 어렵다고 하면서 밀린 임금과 퇴직금을 대신하여 A주식회사가 김C에게 가지고 있던 채권을 양도하여 주겠다고 제의하였습니다. A주식회사의 사정을 잘 알고 있는 박C는 밀린 임금과 퇴직금을 대신하여 김C에 대한 채권을 양도받기로 합의하였습니다. 채권을 양도받은 후 박C는 김C에게 청구를 하였으나, 김C는 박C에게 돈이 부족하다고 하면서 밀린 임금과 퇴직금 중 일부만 지급하였습니다.

이 사안에서 박C는 A주식회사에게 김C로부터 지급받지 못한 임금과 퇴직금을 청구할 수 있을까요?

해결

위 사건과 동일한 사건에서 부산지방법원은 박C는 A주식회사에게 청구할 수 없다고 판시하였으나, 대법원은 청구할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근로기준법 제43조 제1항에 의하면 “임금은 통화로 직접 근로자에게 그 전액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법령 또는 단체협약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에는 임금의 일부를 공제하거나 통화 이외의 것으로 지급할 수 있다.”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근로기준법에 따라 A주식회사는 박C에게 임금을 현금으로 지급해야 하고, 위 법을 위반한 A주식회사와 박C 사이의 채권양도합의는 원칙적으로 전부 무효가 됩니다. 다만 위 채권양도합의당시 박C와 A주식회사가 밀린 임금과 퇴직금을 위하여 채권을 양도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면 (민법 제138조에 의하여) 채권양도합의는 박C의 임금과 퇴직금의 지급을 위한 것으로 인정할 수 있습니다.

대법원(2012. 3. 29. 선고 2011다101308 판결)에서도 “甲이 乙 주식회사와 퇴사 당시 지급받지 못한 임금 및 퇴직금의 지급에 갈음하여 乙 회사의 제3자에 대한 채권을 양도받기로 합의한 다음 양도받은 채권 일부를 추심하여 미수령 임금 및 퇴직금 일부에 충당하였는데, 그 후 다시 乙 회사를 상대로 미수령 임금 및 퇴직금 중 아직 변제받지 못한 부분의 지급을 구한 사안에서, 위 채권양도 합의로 甲의 乙 회사에 대한 임금 및 퇴직금청구채권이 소멸되었다고 본 원심판결에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라고 판시하였습니다.

위 판결과 민법 제138조에 의하여 박C는 A주식회사에게 김C로부터 받지 못한 임금과 퇴직금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변호사 김기윤(kiyunemail@gmail.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