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선정, 송전선로 설치는 넘어야 할 산
보은군이 LNG복합화력발전소 유치에 올인 할 태세다. 정상혁 군수는 지난주 11개 읍면을 순회하며 LNG복합화력발전소 유치 당위성을 주민들에게 호소하고 전세대주를 대상으로 서명작업에 들어갈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마디로 발전소가 들어오면 인구와 일자리가 늘어나고 돈이 풀려 지역의 획기적인 성장 동력이 된다는 것이다. 민간인이 운영하는 사업에 지자체가 앞장서 주민의 설득을 구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로 귀추가 주목된다. 보은군이 발전소를 유치하고자 하는 이유는 대략 이렇다. 발전소를 유치하면 공사가 시작되는 2014년부터 2017년까지 4년간 약 20만명의 인력이 필요하고 보은지역의 공사참여가 늘어난다. 완공되면 협력업체의 인력까지 약 1500여명의 인구가 늘어 지역 내 소비가 활발하다. 지역발전기금으로 앞으로 30년간 약 35억 원의 지원을 받게 된다. 전기를 많이 사용하는 기업유치도 쉬어진다.
또 환경오염과 농작물 피해 등은 기우에 불과하다. 발전소 연료인 LNG는 무색무취의 연료로 석탄이나 석유사용 화력발전소와는 달리 오염도 없고 첨단시설이기 때문에 안전하다는 것이다. 만약 오염이 있다면 안양이나 분당 같은 대도시 가운데서 가동할 수 없고 전국 30여개 시군이 유치에 뛰어들지 않는다는 게 군의 설명이다.
특히 군은 산업단지 분양이 절실하다. 동부산업단지를 2016년까지 분양하지 못하면 한국농어촌공사에 약 649억원을 지급해야 할 형편이고 보은산업단지 1,2차 분양에도 실패하게 되면 보은군은 2017년까지 약 909억원을 물어내야 할 다급한 처지다. 따라서 산업단지 분양이 절실한 과제다.
그러나 발전소 후보지 주민들은 서리와 같은 환경피해와 물부족 등을 우려하며 농작물 피해가 없다는 자료를 요구하는 등 발전소 건설에 호의적이지만은 않은 눈치다.
군에 따르면 전국 30여개 지자체가 올 12월 지식경제부의 2~3곳 선정을 앞두고 37개의 발전소 유치신청을 해 각축을 벌이고 있다. 보은도 이중 한곳으로 신청업체 가운데 가장 적은 규모(830MW)다. 강원도는 11개 업체(4만7200MW)가 신청했다. 경기도와 전라도는 각각 7개 업체가 신청서를 제출해 정부선정을 기다리고 있다.
보은군이 입지로 내세운 보은산업단지는 산업단지 조성으로 토지보상에 대한 걱정이 없는데다 발전소 부지확보가 수월하고 용수 및 연료 확보가 용이한 점이 장점으로 꼽힌다. 반면 송전계통 연계망 부족으로 송전에 어려움이 따를 것이란 예상이다.
보은의 변전소는 154변전소로 송전선이 약하다. 때문에 LNG복합화력발전소가 이곳에 건설되면 신옥천변전소까지 송전선로(345변전소)를 새로 깔아야 한다는 게 주변의 관측이다. 즉 보은군이 발전소 입지로 선택되어도 전력보급선인 철탑을 설치해야 하는 난관이 따른다. 갖은 민원과 역경을 돌파하고 철탑을 세워 송전할 수 있을지는 무엇보다 사업주 트루벤인베스트먼트(주)의 능력과 자본력, 의지에 달렸다하겠다. 또 정부의 규제를 받는 전력요금 체계에서 민간자본력이 수익을 창출해낼 수 있을지도 관심사다. 수익이 나오지 않으면 주민발전사업은 한낱 공염불이 될 수 있다.
/김인호 기자
저작권자 © 보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