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의회, 부실감독 철저히 대응
상태바
군·의회, 부실감독 철저히 대응
  • 송진선
  • 승인 1999.04.0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930개소 전 수해복구 공사장 수차례 점검
수해재발 방지를 위한 공무원과 의회가 총체적으로 나서 부실시공의 근절에 한몫을 다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군은 이번 수해복구 공사에서 부실시공된 공사는 완공을 했다 하더라도 재시공하도록 하는 등 부실공사가 발붙이지 못하도록 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하고 있다. 이미 건설분야 공무원 뿐만아니라 행정직 공무원가지 군전체 공무원들이 감독으로 나서 수시로 수해복구 공사장 점검에 나서고 있다.

따라서 비 전문분야의 공무원들이 수해복구 공사를 효과적으로 점검하도록 하기 위해 지난 1일 정례조회시에는 각종공사의 표준 공법 등에 대해 교육을 한 후 1일부터 3일가지 군은 군청 및 읍면발주의 총 930개소 사업장에 대해 일제 점검을 했다. 이들 공무원들은 지난 3월 10일부터 12일가지 실시한 군청과 읍면발주 930개 공사장 중 착공된 공사의 60건의 문제점이 나타나 시정조치를 한 바 있는 이들 사업장에서 또다시 하자가 발생했는가 주의깊게 살폈다.

1차 점검시 석축공사 중 기초부분을 부실하게 공사하거나 뒷채움돌의 규격이 미달, 제 구실을 못하게 되었는가 하면 돌망태 공사도 돌망태 사이의 간격이 규격에 맞지 않게 시공되는 등 공사의 많은 부분이 설계서대로 시공되지 않아 재시공하도록 조치를 했다. 그런가하면 군의회도 재해특위를 구성해 지금까지 총 8차례의 특위를 운영해 각 지역별 수해복구 공사장에 대한 일제 감사를 벌이는 등 군과 의회가 수해재발 방지를 위한 수해복구 공사 감독에 철저를 기하고 있다.

군 공무원은 "군과 의회에서 이와같은 수해복구 공사장을 수시로 점검하면서 감독하자 일부 공사장의 인부들은 일을 못하겠다고 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들이 내집 앞 하천제방을 막는다고 했을 때도 규격미달의 돌을 쌓겠느냐"며 "공사를 감독하며 잔소리를 하는 공무원을 탓할 것이 아니라 인부나 사업자의 양심을 탓해야 한다"며 부실시공 봉쇄의 의지를 분명히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