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조사료걱정 ‘끝’
상태바
축산농가 조사료걱정 ‘끝’
  • 나기홍 기자
  • 승인 2012.08.30 13: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청보리 수경재배기능 하루 500kg 생산가능
조사료용 청보리를 수경재배로 하루 500kg까지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어 축산농가들이 조사료 걱정을 크게 덜게 됐다.

충청북도농업기술원(원장 조광환)은 국제 곡물가격 상승에 따른 과도한 사료비를 절감하고 품질 좋은 축산물을 생산하기 위해 8,000만 원을 지원하여 청원군에 ‘조사료 생산 식물공장’을 설치하는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금년 말까지 설치하기로 한 조사료 생산 식물공장은 19.8㎡의 면적에 매일 청보리나 밀 등 맥류종자 75kg을 파종하면 6일 후 15cm 정도 자란 신선한 조사료를 매일 500kg정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연간 생산량은 180톤으로 초지 8ha를 대체할 수 있는 양이다.

식물공장에서 생산한 조사료는 축산농가의 사료비 절감은 물론 영양성분이 우수하고 미네랄과 비타민이 풍부하여 면역력 향상과 소화 흡수율을 높이며 수태율도 향상되는 등 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졌다.

도 농업기술원이 추진하는 식물공장 시범사업은 이동식 컨테이너 속에 온도와 습도 조절, 관수시설, LED 광원 등 첨단 IT 기술을 접목하여 비료와 농약 없이 물만으로 생산하는 시스템으로, 초지가 없어도 품질 좋은 조사료 생산이 가능하다.
이 시설이 완공되면 조사료 재배면적이 부족한 농가와 TMR(완전혼합) 사료를 제조하는 농가에서 사료비 절감 대안으로 많은 관심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한우나 젖소는 초식가축으로 기존의 사양방식인 과도한 곡물 급여는 생리적으로 반추위 발달을 저해하며 면역력의 저하로 이어져 질병에 노출될 위험이 큰 단점이 있으며, 경제적으로는 사료 값 상승 등으로 축산농가의 경쟁력 확보에 가장 큰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추진하고 있는 조사료 생산 식물공장 시범사업은 축산농가의 어려운 현실을 타개하는 돌파구로 주목받고 있다.

충북도 농업기술원 차선세 기술보급과장은 “소 사육농가에 확대 보급하여 국제 곡물가 폭등에 따른 사료비 절감에 선제적으로 대처하고, 가축 면역력 강화에 따른 질병예방, 신선 조사료의 비타민 A(씨앗대비 100배 이상 함유)성분에 의한 수태율 향상까지 1석 3조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나기홍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