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에 따르면 군에서만 선급금으로 풀린 돈이 300억원에 이르고 타 기관까지 합쳐본다면 이미 400억원가량이 방출됐을 것이란 전망이다. 이 돈이 입찰업체 본사로 흡수되는 것도 많지만 본격적인 공사에 따른 자재확보 및 장비확보, 인력 등을 확보하는데 쓰일 것이기 때문에 상당부분 지역으로 그 돈이 흡수되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짚고 넘어갈 것은 의식주 해결을 위해 떨어뜨리는 일부만 흡수할 것이 아니라 이들이 더욱 지역경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것이다. 식당이나 술집 등에서 최상서비스를 제공하는 상인정신으로 이들을 응대하는 것, 행사는 청주에서 해도 잠은 유성에 가서 잔다는 것 처럼 보은에서 공사를 하고 그 돈을 다른 지역에서 쓰게 만드는 것은 전적으로 지역 주민들의 책임이다. 또 공사장에 소요되는 단순 노무인력이 전부 지역에서 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 공사장에 소요되는 자재를 지역업체가 공급하는 것 등등. 보은군에서는 공사에 소요되는 한정된 기간만이라도 공사 소요 자동차의 자동차세를 보은군에 납부할 수 있도록 건설업체에 협조를 의뢰하는 것도 구상하고 있다.
설 연휴 후 본격적인 수해복구 공사가 시작되면 보은군은 그야말로 불야성을 이룰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행정기관은 물론 지역주민들도 이들이 보은군에 많은 돈을 쏟아놓을 수 있도록 친절한 서비스 형태를 보여줘야 한다. 행정기관은 공사가 모두 착공되었다고 해서 이제 그 돈을 벌어들이는 것은 주민들의 몫이라고 방관할 것이 아니다. 주민들도 행정기관에서 방법을 찾아주겠지 하고 앉아서 기다릴 때가 아니다. 80년 수해이후 보은군에 신흥 부자가 탄생되었듯이 이번 수해복구 사업 후에는 지역경제가 더욱 든든해지기를 기원한다.
저작권자 © 보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