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행권 확보’로 선진지의 모범사례 만들어야
상태바
‘보행권 확보’로 선진지의 모범사례 만들어야
  • 천성남 기자
  • 승인 2011.07.14 09: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변해야 산다<37>
‘민으로부터 출발하는 지역 혁신을 이루자’
노력해도 되지 않는 일은 없다. 되는 일은 초기 관심부터 다르다.
기껏 3만5000여명이 살고 있는 작은 군에서 안 되는 일이 너무 많다. 그래서 민이 먼저 들고 일어났다.
바로 ‘보행권 확보’ 운동이다.
“보은읍 중앙로에서 차를 타고 가다보니 무언가 잘못됐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여학생 둘이 사라져버린 인도로 인해 차도로 걸어오는데 자가용 한 대가 심한 경적을 울리며 여학생들을 위협하는 듯이 보이더군요. 어쩔 줄 몰라 하며 이리 피하고 저리 피하는 여학생들이 여간 안쓰럽지 않았어요. 무언가 거꾸로 되어가는 것 같았어요. ‘보행권 확보’는 곧 ‘주민의 권리’로 꼭 이뤄내야 합니다.”
지역 내에서 한 동불병원을 운영하고 있는 A모 씨의 말이다.
장애인이나 노약자는 고사하고 심지어 학생들조차 인도가 확보되어 있지 않는 복잡한 거리를 걷는 것은 곡예사가 외줄을 타는 것 만 큼이나 아주 위험천만하다.
이제 ‘보행권 확보’는 오랫동안 관이 개입해도 되지 않은 일이란 주민인식이 팽배하다.
그래서 민이 먼저 ‘보행권 확보’에서 ‘보행권 확보운동’으로 격상시키고 민·관 주도의 민의 운동으로 이끌기 위해 시동을 걸었다.
“보은의 6일장은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 활성화시켜야 하므로 괜찮지만 평일만큼은 지역의 학생, 아동, 장애인, 노약자, 임산부 같은 노약자들을 인도를 내어놓을 준비를 해야 합니다.”
그러나 현실은 잘 되지 않고 있다.
한 지역주민은 “노점상도 노점상이지만 점포를 버젓이 가지고 있는 사람들도 인도를 점거하고 물건들을 내어 적재하는 등 주민의 권리를 박탈하는 횡포를 부리고 있다.”며 “이대로 가다간 작은 것도 해결 못하는 정신적인 지역의 낙후성으로 점점 뒤처지는 군으로 전락할 것 같은 불안감이 있다.”고 밝혔다.
“군 의원들은 무엇 합니까? 지역의 현안이자 주민들의 권리를 속수무책으로 빼앗기고 있는데 군 의원들은 어디서 무엇을 하는 지 관여조차 않고 있는 것 같아요. 주민의 손으로 뽑은 대의기관인 의회차원에서 이 문제를 해결 하는 것이 옳은 일 같아요.”
‘인도 확보’에 뜻을 같이 하는 지역 주민들은 이구동성으로 이렇게 말하며 다수의 관심을 촉구했다.
주민생활복지통합서비스 민·관 협의체인 보은희망네트워크가 적극 나서며 ‘인도확보 운동’에 나서고 있다.
한 관계자는 “우선 먼저 재래시장 상인들의 협의체를 통해 이해를 촉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중”이라며 “점차 이러한 수순을 밟아 군, 경찰, 교육지원청 및 각 사회민간단체들도 보행권 확보운동에 적극 동참해야 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서 우선 필요한 공무원들의 개입문제에 한계성을 보인다는 것이 문제다.
공권력을 투입해도 잘 되지 않는 주민의 민생고가 걸려있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어렵지만 민·관의 합동노력으로 ‘인도권 확보’가 달성되면 바로 청정 고을의 보은 이미지와 아름다운 도로를 가진 지역으로서 선진지의 모범사례가 되어 오히려 ‘보은’의 이름을 빛낼 수 있는 또 하나의 절호의 기회를 갖게 될 것이 자명하다.
쉬운 길을 눈앞에 두고 저 만치 멀리 에돌아가는 불편함을 대물림 할 이유는 결코 없다.
이 지역은 바로 우리 아이들이 자라고 부모가 살고 신체적, 정신적 장애를 가진 사회적 약자들이 더불어 살고 있는 ‘작은 세상’이기 때문이다.
현실적 관점으로 보면 ‘보행권 확보 운동’이 어려운 것은 바로 각자의 이해관계 때문이다.
한발 물러서 내 이웃을 생각하고 그들을 돌아보는 마음이 우선돼야 가능하다.
그래야만 민·관 협의체가 추진하는 ‘보행권 확보 운동’이 사회적 약자들을 위해 아름답게 자리 잡을 수 있다.
/천성남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