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청댐 대책위 진정서, 정부 각부처 회피
대청댐 상수원 특별대책고시(안) 철폐 대책위원회(위원장 오대수)가 각부처 및 도에 제출한 진정서의 회신 내용에 대하여 회남·북 주민들이 크게 실망하고 있다. 지난 2월13일 오위원장을 비롯한 회남·북 주민 1천3백 24명이 공동으로 청와대, 국무총리실, 국회, 환경부, 충북도, 충북도의회, 국민고층처리위원회, 여야 4당 등에 제출한 대청댐 상수원 특별대책 고시안 철폐를 요구하는 진정서에 대해 야3당을 제외하고 모두 회신을 보내왔다.대책위는 각 부처 및 기관에 보낸 진정서에서 각종 규제조치의 해제와 완화, 하수종말처리장 등 환경오염 방지시설의 설치, 속리산과 연계한 대청댐 주변 국민관광 휴양지 조성, 주민 소득사업지원, 면내 사업특구 설치등 숙원(현안)사업 적극 지원 등 5개 항목에 23개의 세부안을 요구했다. (본보 294호 보도)
그러나 주민들에 따르면 이번에 통보된 회신의 내용이 형식적인 답변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각 기관에서 보내온 회신은 대부분 자기부서의 관할이 아니라는 이유를 들어 타기관에 이첩을 시켜 검토중이라는 것이 주요 답변 내용이다. 특히 대청댐 건설로 인한 안개 발생빈도 증가로 인한 감 수확량 감소에 대해서는 김모씨의 논문 내용을 인용하여 비교측정자료가 없다는 이유를 들어 증가로 볼 수 없다는 회신을 보내왔다.
그러나 보은지방과 같은 분지 지형인 제천지방의 안개특성조사 내용에는 충주댐 건설후 안개발생일수가 10일정도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어 있으며, 기상관계자들도 일반적으로 댐과 같은 대규모 수면이 조성될 경우 안개발생일수는 증가한다는 것이다.
이에대해 주민들은 누구하나 나서서 대책을 강구하지 않고 각기관이 책임을 회피하며 타기관에 이첩하는 등 확답을 회피하는 것은 주민들의 생존권을 놓고 부처간의 실익을 저울질하는 행위라며 크게 분개하고 있다.
저작권자 © 보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