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은 2차 공공기관 지방이전 대응의 골든타임이다. 충북도의 지금과 같은 대응 속도로는 타 시도에 뒤처질 우려가 크다.”
박경숙 충북도의원은 지난 26일 열린 제430회 정례회 제2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이같이 말했다. 이어 충북도의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공공기관 유치 전략 마련을 강력히 촉구했다.
박 의원은 “이재명 대통령이 중앙지방협력회의에서 공공기관 지방이전을 공식화한 만큼, 이전 논의는 더 이상 검토 수준이 아니라 정부가 직접 추진하는 현실적 국가정책으로 넘어왔다”고 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현재 이전 대상기관 확정을 위한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며, 2026년 초 기관을 확정할 예정인 만큼 충북도는 지금 즉시 대응 체계를 가동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박 의원은 “충북도가 2023년부터 공공기관 유치 TF를 운영해 왔지만 정부의 본격적인 지방이전 움직임에 상응하는 가시적 유치활동이 부족하다”며, “정부 동향을 예의주시하며 보다 적극적인 유치전략과 실행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박 의원은 또 “도 차원의 지역 맞춤형 유치전략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이 올해 12월 완료되지만, 정작 가장 중요한 ‘후속 연구용역’ 예산이 내년도 본예산에 반영되지 않았다”고 했다. 이어 “만약 1회 추경에서 예산을 확보하여 뒤늦게 연구를 추진한다면 이미 정부의 이전 대상이 확정된 이후로 대응 속도에서 뒤처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2차 공공기관 이전은 혁신도시에만 배치하는 기존 방식의 한계를 보완하고 인구소멸지역과 저발전지역을 고려한 한 전략적 배치 검토가 필요하다”며 보은군을 예로 제시했다. 그는 “보은국가산업단지의 한화 공장과 연계해 △한국국방연구원 △국방전직교육원 △전쟁기념사업회 등 방위산업 분야 공공기관을 이전 유치할 경우 지역산업 생태계와 시너지가 극대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끝으로 박 의원은 충북도에 △공공기관 유치 TF의 조기 재정비 및 즉시 가동 △학술용역 풀예산 등 후속 연구용역 예산의 신속 확보 △혁신도시 외 개별 이전이 가능한 기관 발굴 등 세 가지 대응을 촉구하며 “2차 공공기관 이전은 충청북도의 미래를 좌우할 절호의 기회이며 반드시 선제적으로 대비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