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져가는 우리의 멋, 맛
상태바
사라져가는 우리의 멋, 맛
  • 보은신문
  • 승인 1999.08.28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영삼(보은문학회 총무)
고층의 아파트 단지를 지나다 보면 예전에 집집이 뜰안에 풍경처럼 그려져 있던, 한 폭의 그림을 찾아 볼 수가 없다. 어디에 두었을가, 맛은 어떠할까, 궁금증을 안고 아파트 숲을 빠져 나올 때쯤, 눈높이를 낮추는 연립주택이 눈길을 끈다. 배란다 난간에 몇개의 항아리가 가을 햇볕을 받고 있다. 항아리 하나가 떨어지는 환상에 아찔한 느낌이 쉬이 가시지 않는다. 한국의 멋 중에 빼어난 장독대의 풍경이 땅에서 허공으로 옮겨져 그 멋을 잃어가고 있다. 주거 공간이 바뀌면서 관습도, 먹거리도, 정서도 변해가고 있다.

그나마 농촌의 허름한 집 뒤뜰에서, 도시민의 주택 작은 공간의 마당 한켠이나 옥상위, 오래 된 저층의 연립주택의 배란다 철근 난간에서, 나름대로의 장맛을 익히며 우리의 것을 지키고 있다. 조용히 바라보며 마음을 안주할 수 있는 장독대의 풍경이야말로, 어머님 품속 같은 따스한 정감이 있는 고싱 아닐까. 장독대와 어머니, 곱게 차려입은 한복의 선과, 질그릇이 주는 은근한 색감과 원만한 곡선미는 세계 어느나라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아름다운 풍광이다. 어디 멋 뿐이랴, 어머니의 어머니 또 그 어머니의 어머니로부터, 내림의 맛과 정서가 있는 곳이 아니던가. 정한수 한그릇 떠 놓고 가정의 안녕을 빌기도 하던, 신성한 곳이기도 했다. 그러기에 장독대를 만드는데에는 몇 가지 원칙을 두기도 했다.

추녀에서 멀어야하며, 볕 바르고, 통풍과 배수가 잘되는 약간의 높은 지대에 위치해야하고, 장독키보다 큰 나무나 화초는 멀리하여, 그늘이 지는것과 벌이나 파리등 곤충이 끼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나에겐 잊을 수 없는 장독대가 하나 있다. 앞 마당보다 넓었던 오십평 남짓 한 뒤 뜰 중앙에, 넓다란 구들장 돌을 켜켜로 쌓아 올려 그 가장자리에 일정한 간격으로 붓꽃을 심었고, 사방 일미터 넓이의 둘레에 잔디를 심어 바람이 불거나, 세찬비가 와도 먼지도 일지않고 흙탕물도 튀지 않았던, 아버님의 정서가 밴 장독대.

나는 그곳에서 처음 붓꽃을 알게 되었고, 봉긋한 감보라 빛 꽃봉오리를 보고 붓끝을 연상하며, 잔디에 누워 파란 하늘에 글시를 써보곤 했다. 푸른 잔디가 그 빛을 잃을 때 쯤 가을 볕 아래 책을 읽으며, 오물대던 장독대 위 채반에 널린 삶아 말린 고구마 맛은 지금도 잊을 수가 없다. 냉장고가 없던 그 시절 장독대는 갖가지 음식 저장고였다. 이튿날 새벽밥을 짓기 위해 삶아 놓은 보리쌀이며, 추석때 송편, 호박고지, 고구마 말림, 고추, 한 겨울 항아리 속 홍시맛은 도 어떠냐…

눈이 소복히 쌓인 겨울 장독대 위, 가정의 솟아오른 얼음은 신비스럽기까지 했다. 언제 어느때고 항아리 뚜껑만 열면 먹을 것이 유림되어 있던 장독대, 그 장독대를 맴돌며 놀던 유년 시절의 추억은 어머님의 장맛을 더욱 그립게 한다. 결혼 후 그 풍경속에 들어가 어설프게 어머님을 흉내 내 보지만 그 맛이 나지 않았다. 몇 해 전 까지만해도 시어머님이 주시는 메주로 장을 담그곤 했다. 그 해에는 그 어는 해보다 장맛이 잘 들었다. 누런 황금빛을 띤 장맛은 짜지도 떪지도 않으면서 구수한 맛과 함께 단맛까지 돌았다.

아침 저녁 옥상을 오르내리며 장독 뚜껑을 여닫기를 몇몇날, 그러던 어느날 장독 뚜껑을 열다 어이없이 주저앉고 말았다. 메주 두장 분량의 된장이 한 사발 정도는 남았을까, 밤 새 없어진 된장 독 안에는 알 수 없는 이의 손가락 무늬가 선명했다. 누구인가 그도 고향을 떠나 어머님의 장맛이 그리웠나보다, 이해를 하다가도 노랗게 잘 익은 장맛을 보지못한 서운함은 증오심으로 변해갔다. 그 사건 이후로 어머님은 메주를 주지 않고 시골집 장독에 우리몫까지 다담으셨다. 몇 칠 먹을 만큼의 양을 덜어다 냉장고에 두고 먹어 보지만 장독대의 독에 든 장맛만 못했다.

한번도 먹어 보지도 못하고 잃어버린 된장 사건은 나에게 많은 것을 빼앗아가 버렸다. 유명무실 해버린 옥상의 장독대를 얼마 전 좁은 마당 한켠으로 내려 놓았다. 크고 작은 항아리가 담장 밑에 나란히 서 있다. 소금이나, 마른 고추를 담아두고 창문 너머로 바라보며 한껏 멋스러움으로 운치있던 아버님의 장독대를 연상하며, 어머님의 장맛을 혀 끝에 담아 본다. 아직 모양새도 갖추지 못한 장독대이지만 아이들의 눈길이 다가와 주기를 바라며 요리조리 옮겨본다.

좁은 마당에서 두 사내아이가 공을 차는가 싶더니 질그릇 깨지는 소리가 들린다. 큰 아이가 연발 창문 쪽을 향해 죄송하다는 말을 한다. 혼을 내 주기보다 거기 있는 장독대를 바라봐 주었다는 사실에 희열을 느낀다. 주거 공간이 바뀌면서 사라져가는 우리의 것을 제대로 바라보고 재연할 수 있도록 우리 아이들의 입맛과 정서를 지켜주고 싶다. 구리의 맛과 멋을 지켜 나갈 수 있기를 바라며, 그속에서 그리움을 키울 수 있고, 만날 볼 수 있는 장을 담그는 어머니가 되고 싶다. 우리의 멋과 맛을 제대로 우려낼 수 있는…

<정이품송>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