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상호보완적 협력시스템 구축 주민체감 높여야”
상태바
“민·관 상호보완적 협력시스템 구축 주민체감 높여야”
  • 천성남 기자
  • 승인 2012.05.03 23: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보은군노인장애인복지관 ‘2012공동포럼’
‘내사랑보은네트워크’의 농촌형 복지전달체계로서의 의의와 발전방안
▲ 지난달 25일 보은군노인장애인복지관에서 이순희 산남종합사회복지관장을 좌장으로 이재열보은군의회의장 등 4명의 패널이 참석, 농촌형 복지전달체계 관련 통합사례관리에 따른 지속적인 사업의 필요성을 위한 공동포럼이 개최됐다.
보은군노인장애인복지관(관장 박민호) 내사랑보은네트워크는 지난달 25일 ‘내사랑보은네트워크의 농촌형 복지전달체계로의 의의와 발전방안‘이란 2012공동포럼을 개최했다.
산남종합사회복지관의 이순희(전 보은군노인장애인복지관장)관장을 좌장으로 한 이번 공동포럼은 지난 2009년부터 3차년도에 걸쳐 사회복지공동모금회(중앙회)기금 3억9300만원을 투입해 지역사회 20개 기관과 컨소시엄을 구성, 농촌 형 복지전달체계를 구축해온 내사랑보은네트워크 사업이 오는 9월 종료됨으로써 군과 연계, 지속적인 추진사업으로의 필요성 제기를 위한 종합토론의 장이 됐다.
이번 포럼에는 복지학자인 김영란(목포대)교수를 비롯 이태수(청원노인행복네트워크센터장)꽃동네대학교수, 이재열 보은군의회의장. 임봉빈 보은군청주민복지계장 등 4명의 패널과 11개 읍·면·장, 사회복지 실무진 등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했다.
첫 발제자인 허윤옥 팀장은 3년간 성과에 대해 “내사랑보은네트워크는 지역 내 보건복지서비스연계의 시발점이 되어 보은군이장단 249명, 부녀회장단 259명, 한전검침원 28명, 우체국집배원 13명, 요양보호사 30명 등 마을의 영향력 있는 주민들을 조직하여 사례 발굴 및 위기대처요원의 역할부여로 자발적인 지역발전에 참여해 위기사례 관리증대에 효과를 거두었고 위기노인인구가 많은 보은지역에 네트워크사업의 지속화 안정화 방안을 마련하는 계기가 됐다.”며 “수요자 중심의 포괄적 서비스, 다양한 자원개발 통한 질 높은 서비스 제공, 요보호 노인의 지속적 발굴사례관리 등에 지속적인 네트워크 사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두 번째 발제자로 나선 이태수 교수는 “농촌체감형 복지전달체계 구축방안을 위해 농촌의 복지전달 체계의 한계성을 극복하는 연구 과제를 안고 있다.”며 “경기, 횡성, 청원, 보은군 의 통합서비스 사례 예시를 통해 서비스 전달체계에 대한 문제점과 복지전달체계 개편의 필요성과 주민들의 체감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역구성원 간 통합적 네트워크 구성, 공공과 민간의 상호보완적 협력시스템 마련 등으로 실효성 있는 자발적 네트워크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종합토론에 나선 김영란 교수는 “이태수교수의 연구발표에서처럼 농촌체감형 복지전달체계구축이 핵심으로 그 방법에 있어 통합사례관리, 주민조직화가 필요하며 그러기 위해선 마을복지사의 역할 비중과 농촌 거점형 복지교육센터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이태수 교수는 “새로운 기관 만들기보단 기존자원 활용한 극대화 방안으로 리 단위의 진료소를 활용, 진료소장이 마을복지사 역할, 읍면동사무소가 네트워크화 하여 복지서비스가 농촌 구석구석까지 누락되는 일이 없도록 이번 포럼이 전달체계 구축마련이 되는데 기여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이재열(보은군의회)의장은 “공공과 민간의 조화로운 시스템이 구축되면 가능하다고 보며 군민 1인 1계좌로 매월 사회복지기금 기부로 인한 예산확충과 1일1가정 멘토링, 모니터링을 통해 차상위계층 등에 정서지원을 보완했으면 한다.”며 “주민참여예산제 참여와 다문화, 조손가정 등에 다양한 문제해결 위해 추후 이 같은 토론의 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임봉빈(주민복지과)계장은 “2309억 예산 중 주민복지가 12.7%를 차지하는데 도시지역에 비해 비중이 낮은 편으로 추후 복지예산 편성에 노력하겠고 노인대학, 효도수당 시행위한 조례제정 준비 중이다. 네트워크 예산문제는 말씀드릴 수 없으나 내사랑보은네트워크와 성격이 비슷한 희망복지지원단과 업무와 서비스가 중복되는 듯 해 추후 논의가 필요할 듯하다.”고 말했다.
이에 이순희 좌장은 “담당공무원이 예산에 대한 내용과 사업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태수 교수는 “과연 공공부문인 희망복지지원단의 기본인력으로 지역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가 의문이고 공적인 부문과 민간부문 사례관리는 전문적이고 유연한 해결을 위해선 꼭 필요하며 도지사 공약사업인 복지전달체계 개선사업은 내년 중 군 단위까지 확산될 예정에 있다.”며 “군, 의회의 관심으로 내년 3개 군 정도에 배정되는 시범사업을 받을 수 있으면 하고 노인대학 사업은 좋으나 찾아오지 못하는 노인들에 다양한 문제해결을 위한 매개체로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며 각 권역별 거점센터 증설이 복지관 짓는 것보단 더 효과적”이라고 덧붙였다.
/천성남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