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해야 산다<36>
‘복지부동(伏地不動)’이란 땅에 엎드려 움직이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주어진 일이나 업무를 처리하는데 몸을 사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지역의 대표 격으로 활동하고 있는 한 군민에 따르면 최근 공무원들의 복지부동은 군민 행정에 있어 눈에 띄게 나타나고 있는 고질적 만성질환이라고 말했다.
특히 공직자 중에는 공무수행에 있어서 잘잘못을 수정하려는 사람은 극소수인 반면, 대부분이 복지부동의 자세로 일관하려는 태도를 보이고 있어 참으로 난감하다는 말을 했다.
군민들을 대신해 개혁을 이끌어 가야 할 사람들이 오히려 복지부동으로 일관하고 있다는 안타까운 얘기다.
남부3군 중 적정 인구감소로 인해 도의원 수가 줄어들어 체감적인 발전 속도도 더뎌짐을 느끼고 있는 군이기도 하다.
군내에서 양봉업에 종사 하고 있는 한 농민이 전화를 했다. “이럴 수 가 있습니까? 외지인도 아니고 분명 군민임에도 불구하고 두 번이나 쫓아가 항의를 했음에도 누구하나 신경써주는 사람이 없었어요. 담당자가 외근 나갔다는 말 외에는 어떠한 답변도 듣지 못했어요.”라고 울분을 토로했다.
군 예산으로 심겨진 가로수에 농약을 살포하다 벌에 피해를 주었음에도 누구하나 사과나 책임을 지려는 공직자는 없었다고 말했다.
수일 후 이 농민은 한 담당자가 전화를 하여 사과를 하고 후일에는 이러한 일이 없도록 하겠다는 답변을 들었다고 전했다.
군민들의 불평불만은 여기서만 그치는 게 아니다.
민원을 들고 군에 들어가면 일부의 공직자들은 무사태평하게 생각을 하는 것은 물론 책임을 지고 그 일을 맡아 해결하려는 의지가 약해 후일로 답변을 미루거나 혹은 관련 부서로 떠넘기기 일쑤라는 것이다.
한 번은 고사하고 한 사안을 들고 서너 번 씩 찾아가야 겨우 될까 말까한 행정에 분통을 터뜨리며 이래 가지고서야 어찌 민의 행정이니 지방자치니 하는 말을 떠올릴 수 있겠느냐고 토로했다.
보통의 사람에게도 신뢰가 있어야 하듯이 군민과 공직자 간에도 책임 행정에 대한 신뢰를 심어주어야 한다.
군 행정에 있어서 군비만을 가지고 하기엔 역부족이다. 지자체의 재정자립도도 낮고 군 수입도 열악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약점 돌파를 위해서는 도 예산 따오기에 발로 뛰는 열심을 내야 한다. 그러나 일을할 수 있는 능력 있는 공직자들은 복지부동을 택하기 일쑤라는 것이다.
‘가만히 있으면 중간이나 간다’는 옛 말에 충실하려는 듯 열심히 일해서 찍히는 공직자로 남기는 싫다는 얘기다.
한 군민은 바로 이런 점이 최악의 상황으로 군이 도저히 앞으로 나아갈 수 없는 상황을 만들어 가는데 일조하고 있다는 것이다.
정군수가 군정업무를 시작하면서 첫 일성으로 한 이야기가 있다. 몸 사리지 않고 열심히 일하는 공직자는 그만큼의 대우를 받아야 한다고.
비록 열심히 일한 사람이 때론 난관에 부딪쳐 어려움에 처하는 순간이 올지 몰라도 그것은 후일 그 뜻을 알아주는 군민들이 있기에 충분한 가치가 있게 마련이다.
이즈음 그의 말이 다시금 가치 있게 들려오는 것은 왜인가.
/천성남 기자
저작권자 © 보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