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화, 평생교육으로 준비해야
상태바
정보화, 평생교육으로 준비해야
  • 보은신문
  • 승인 1996.04.20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어제의 지식으로 안주하면 시대의 낙오자로 남아
지리적 여건으로나 경제적 여건으로 대학교육의 사각지대인 보은에도 남녘으로부터 불어오는 봄바람과 함께 대학원 문화가 찾아왔다. 평생교육과 사회교육의 이념을 바탕에 두고 정보사회의 창조적 역할과 지도자 육성이라는 목표를 세우고 지방화시대를 열어가는 유능한 지도자의 양성과 지식과 인격의 함양을 위해 대전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보은분원이 유치되어 70명의 원생이 개강에 들어갔다.

1년과정인 고위관리자 1기의 교육프로그램을 살펴보면 현대 사회구성원들이 요구하고 있는 지방화시대의 지방자치행정과 21세기를 준비하는 미래의 행정, 산업기술을 테크해주는 경영학의 마케팅과 그 기법, 그리고 삶의 질을 높힐 수 있는 문학예술을 포함한 한방의학의 건강학 등 다양한 교양과목과 유명인사들의 특강, 부부대특캉, 산업시찰과 해외연수를 통하여 자기성찰과 고유의 범위를 넓힐 수 있는 폭넓은 교육은 과거의 어느곳에서 찾아볼 수 없었던 신선함을 주는 교육의 장이 열려진 것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현대 산업사회는 매우 급속한 변화로 빠르게 흘러가고 있다. 그 변화 자체는 20세기에서 21세기로 이어지는 세기적 변화가 되어 정보화 시대, 정치, 경제, 사회, 문화등 모든분야가 과격하고 급속한 소용돌이는 현기증을 느끼며 냉엄한 경쟁사회속에서 우리는 과겅에 배운 지식으로 감당하기 어려우며 어제의 지식으로 안주해서는 시대의 낙오자가 되어 남보다 뒤쳐지는게 오늘의 현실이다.

우리는 이미 다가온 정보화시대를 성공적으로 꽃피우기 위해서는 새로운 학문에 접해야 하며 지식을 얻어야 새로운 지혜를 가질수가 있다. 이러기 위해서는 평생학습으로 도전할 자세가 필요한 것이다. 평생교육이란 평생에 걸친 항구적이고도 계속적인 학습을 말하는 것이다. 평생교육은 개인 능동적으로 계속적 학습의 기회를 포착하므로써 인간성의 조화적 발달을 꾀하며 변화하는 현대적 생활에 슬기롭게 대처하고 창조적으로 개혁해 갈수 있는 지식 기능을 익히며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인간적 교육의 의미이기도 하다.

이러한 교육들이 옛부터 우리 선조들을 몸에 배어 끝없는 학습으로 선비의 정신을 살리고 삶의 그 과정자체를 평생교육으로 여겼다는 지혜로움을 선조들로부터 간파할 수가 있다. 이제 지식과 정보가 홍수처럼 넘치는 사회 개인의 가치가 존중되고 개방화된 민주사회에 있어서는 새로운 지식의 아이템을 창출하여야하고 일생동안 공부를 하지않으면 모든 문화를 수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은 대학원(개방대학)의 문화를 요구하고 있다.

대학원 만큼이나 수준높은 교육자원과 지식을 보유하고 있는 교육기관은 드물다고 보유하고 있는 교육기관은 드물다고 볼 수 있다. 대학원은 새로운 지식의 창조와 연구하는 질높은 종합적인 평생교육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곳이다. 세계제일을 자랑하는 미국의 대학이 학생수는 줄어가고 사회교육의 대학원에는 많이 몰리고 있다는 미국 석학들의 얘기를 많이 들었다.

세계의 석학들이 배출되고 있는 하버드대학과 콜롬비아, 보스토 대학등에는 18만명이라는 평생교육 차원의 대학원에서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배우고 익히며 과거의 배웠던 교육을 보충하고 재교육을 위해서 열심히 배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국의 유명한 미래학자 앨빈토플러는 어제의 지식은 오늘에는 버려야 한다는 유명한 말이 있듯이 이는 밀려 오는 새로운 지식에 의해 버려야 하기 때문이다.

미국이라는 사회가 흑인들의 슬럼가나 저소득 게층에 의한 살인, 마약 등으로 곧 쓰러질 것 같으나 그래도 석학들과 수백만명의 대학원생들이 공부를 하고 있다는 사실에 미국이 존재한다고 한다. 지식은 힘이다. 지식의 파워를 실감나게 느낄 수 있는 일이다. 평생교육에는 두가지의 학습방법이 전개되고 있다. 그 학습에는 사회적 요청과 인간적 효청이 있다.

인간적 요칭이란 인간의 삶의 가치를 존중하는 교육적 측면을 강조하며 사회가 성숙하면 할수록 물질보다는 정신을 재화보다는 문화를 존중하는 정신적, 문화적 풍요를 갈망하게 된다. 따라서 교육욕구에 있어서 새로운 지식 및 교양을 습득하고 사회봉사활동에 참셔하는 것의 삶의 기쁨으로 삼으며 지적 측면에서 기술적 측면에서 개성에 알맞는 과제를 가지고 도전하고 해결하는 창의적 발견을 삶의 기쁨으로 여기는 것인 인간적인 요청을 위한 교육이며 사회 요청이란 지역사회의 학습요구 충족을 위한 지역주민의 요청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그들에게 어떤 지식기능을 습득할 것인가에 대하여 그를 충족시키고 그들의 생활을 통하여 가치로운 삶을 보장하려는 것이 평생교육의 이념이다.

이제 현대사회는 날이 갈수록 직업환경의 변화가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현대의 흐름은 갈수록 지식의 변화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어 지속적인 공부와 교육의 채널속에서 밀물같이 밀려오는 정보와 지식을 배워 그것이 우리 삶에 밑천이 되는 밑거름이 되기 위해서는 대학원 문화에서 많은 과목을 접해야 할 것이다. 이렇게 지식을 습득할 때 지방자치화 시대를 열어가는 선두주자가 될 수 있으며 국가와 사회에 크나큰 기여자가 될 수 있다. 이제 우리 보은분원의 대학원은 이 지역의 인사들이 한마당에 모여서 지역의 현안을 논의하고 이 기회로 지역이 활성화되는 계기가 되어 혁신의 바람이 불어 낙후된 우리 보은이 발전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