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은군 내북면 토굴에서 40대 여성의 토막시신이 발견돼 수사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하지만 유력 용의자로 지목된 60대 남성도 스스로 목숨을 끊는 바람에 사건의 전모는 쉽게 드러나지 않을 전망이다. 언론매체와 청수 상당경찰서에 따르면 지난 11일 오후 3시쯤 보은군 내북면의 한 토굴에서 A(47 여 청주시)씨의 시신이 발견됐다. 발견 당시 시신은 토막 나 마대자루 3개에 나뉘어 담긴 채 흙으로 덮여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A씨의 행적을 확인하던 경찰은 그의 집 근처 CCTV 화면에서 결정적인 단서를 찾아냈다. 지난 2일 오후 9시쯤 A씨와 남자친구인 B(65)씨가 함께 집을 나섰고, 얼마 뒤 B씨만 돌아오는 모습이 담긴 것이다. 경찰은 지난 6일 B씨를 참고인으로 불러 나흘 전의 행적을 캐물었다. 얼마 뒤 그의 집을 찾아간 경찰은 독극물을 마시고 신음하는 B씨를 발견했다. B씨는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았지만 지난 10일 오후 4시 22분쯤 결국 숨졌다. B씨는 ‘가족에게 미안하다’는 내용의 유서를 남겼다. 하지만 A씨 피살 사건의 단서가 될 만한 내용은 유서에 없었다고 경찰은 전했다. 정황상 B씨를 유력 용의자로 본 경찰은 최근 그가 보은군 내북면의 폐탄광 일대를 다녀갔다는 사실을 확인, 집중 수색해 A씨의 시신을 찾아냈다. 이곳은 B씨가 어린 시절을 보낸 고향 마을이다. 모든 단서와 정황상 B씨의 범행이 유력해 보이지만, 그가 스스로 목숨을 끊으면서 경찰은 수사에 애를 먹고 있다. 경찰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A씨의 시신 부검을 의뢰하는 한편 단서를 찾기 위해 A씨와 B씨의 집을 샅샅이 살피고 있다. 또 주변인 등을 상대로 사건 경위를 집중 조사하고 있단다.
도로에 갇힌 금굴2리 주민들
○…보은읍 금굴2리 마을이 청주∼상주 간 고속도로와 보은IC∼영동 간 도로 확장 포장 공사로 섬마을처럼 갇혔다는 소식이다. 지난 8일 뉴시스 보도에 따르면 이 마을 주민은 마을 앞 고승리 논을 가려면 삼승면 송죽사거리까지 간 뒤 유턴하는 방식으로 먼 길을 돌아가야 한다. 그 거리만 무려 10㎞ 정도에 이를 정도다. 아니면 제한속도가 시속 70㎞인 4차로를 목숨을 걸고 무단횡단해야 한다. 이마저도 중앙분리대에 막혀 있다. 특히 제한속도가 시속 70㎞인 도로에 트랙터나 경운기 등을 운행하려면 교통사고 위험이 더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 금굴2리 주민들은 최근 도로발주처인 충북도 투자유치과와 보은군에 농기계를 운행할 수 있는 도로를 요구하는 민원을 제기했다. 마을 주민은 “현재 보은IC 진입 램프 교각 공사가 진행 중인 만큼 약간의 설계변경을 통해 금굴리 앞 신설 교량인 송죽교 하부에 농기계 통행로를 개설해 보청천 제방을 따라 보은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게 해달라”고 요구했다. 뉴시스 통신사는 “보은군 경제정책실 신춘수 주무관은 마을 주민의 민원을 현장 확인한 결과, 충분한 이유가 되고 기존 설계대로 도로를 만들면 금굴리 주민과 농기계 통행, 교통안전에 심각한 위해가 된다고 판단했다”며 “충북도에 송죽교 하부에 농기계 통행도로 개설을 요청했다”는 코멘트를 덧붙였다.
‘인천부평산곡3동’ 산외면 자매결연지 신선 농산물 직거래장터 열어 ‘호응’
○…인천 부평구 산곡3동주민센터는 지난 9일 자매결연지인 보은군 산외면과 연계해 주민센터 주차장에 ‘우수 농산물 직거래장터’를 열었다. 우리 농산물 팔아주기로 마련한 이 장터에서는 산외면에서 올라온 7개 농가가 직접 재배한 대추, 사과, 도라지, 표고버섯 등 우수한 ‘보은 황토 농산물’을 판매해 산곡동 지역 주민들에게 신선하고 값싼 농산물을 제공해 호응을 얻었다. 이진안 산곡3동장은 “앞으로도 지역주민의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행사를 통해 산곡3동과 산외면의 문화·경제적 교류를 활성화시켜 두 지역이 상생발전 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보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