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통폐합, 강 건너 불구경은 아니다
상태바
고교통폐합, 강 건너 불구경은 아니다
  • 김인호 기자
  • 승인 2010.11.25 12: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몇 해 전부터인지 입시철이면 반복해 나오는 목소리가 있다. 고교 통폐합 문제다. 근원은 학생수가 학교 정원수을 못 채우기 때문인데 올해도 고교진학을 앞둔 중3 학생은 남자 171명, 여자 164명 등 모두 335명이다. 그러나 보은지역 고등학교의 모집정원은 보은고 남여 136명, 보은여고 68명, 자영고 남녀 100명, 정보고 남녀 60명 등 모두 364명으로 미달의 연속이다. 이러다보니 학교마다 입시시즌이 되면 학생모시기에 혈안일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학생수 감소는 학교사활과 직결될 수 있는 사안이며 교육이 지역에 미치는 비중이나 영향력을 감안하면 지역입장에서도 응당 풀어야할 숙제다.
두 해 전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교육의 질적 성장을 위해 보은군지역혁신협의회가 나서 고교 통폐합에 대한 용역을 전문기관에 의뢰했다. 한국지방교육연구센터가 수행한 이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전문계와 인문계 고등학교 통폐합에 대해 응답자의 60%가 찬성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문계와 인문계 고교 모두 사회인사(74%), 교사(71%), 학부모(57%) 모두 통폐합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은 찬반 비슷하게 나타남.
통폐합 필요 이유로는 인문계와 전문계 공히 학생수 미달방지와 정부의 ‘다양한 지원유도’를 원하는 측면에서 맥을 같이했다. 그러나 통폐합 방향으로 틀면 인문계는 우수학생 유인체제와 학력신장, 우수교사 유치노력 등 학력경쟁력을 중시한 반면 전문계는 전문계의 특수성을 특히 중시 여겼다. 대신 통폐합 반대로는 전문계의 경우 당초 우려와 달리 동문들의 반대보단 ‘교육과정 조정의 어려움을 가장 많이 지적했다. 인문계는 학교구성원 간 위화감 조성과 학교 간 경쟁부재로 인한 경쟁력 약화, 통폐합의 강제성 등을 부담으로 꼽았다.
당시 연구보고서는 일반계 고교의 통폐합의 경우 여고와 보은고를 현행대로 유지하면서 두 학교를 각각 명품화하는 방안, 두개 학교를 남고와 여고로 분리 운영하는 안, 두개 학교를 남녀공학의 공립고등학교로 전환하는 안, 2개 학교를 남녀공학의 사립고로 전환하는 안, 현행 보은여고와 정보고를 통합하는 안 등 5개안을 제시했다. 이 중 실현 가능한 방안으로 남고와 여고를 분리, 운영하는 방안과 공립고등학교로의 통폐합 안을 다른 방안보다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통폐합은 필요하지만 과정상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궁극적인 개편의 방향은 아니라는 전제를 깔았지만 우선적으로 완충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남고와 여고로 분리해 운영한 후 공립 고등학교로의 통폐합이 이뤄져야 한다고 보고서는 제시했다. 남고와 여고의 잠정적 분리방안은 통폐합을 향한 시간적 여유를 제공하며 두 학교에게 발전기회를 균등하게 부여함으로써 학교간의 소모적 경쟁을 해결하고 통폐합으로 나가기 위한 기반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통폐합이 지연될 경우 두 학교의 소규모화로 타 지역의 고등학교에 비해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통폐합은 인위적으로 하기도 힘들고 한다고 해도 문제가 파생된다. 통폐합 이전에 우선 교육계, 지자체, 군민장학회 등 각종 교육관련 단체, 지역주민들이 참여하는 객관적 범 통폐합추진위 구성과 단체장 간의 양해각서를 체결, 자치단체장의 임기동안 교육장과 함께 지역사회의 교육발전 환경조성을 위한 재정투자, 주민설득 등 적정규모의 학교유지를 위한 협력체제 구축이 요구되는 이유다. 또한 통폐합 학교의 교육여건 개선을 위한 종합적 체계적 투자와 정부의 농산촌 교육복지정책을 유도하고 지역 장학기금기증 시스템을 마련하는 등 교육재정의 확충과 통폐합된 고등학교의 자율학교 지정, 교장공모제 및 교원초빙제 실시 등 제도적으로 우수교원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 마련도 필요하다. 아울러 보은지역 4개 고등학교를 일반계 1교, 전문계 1교로 재구조화 하는 것도 동시에 추진할 경우 전문계고 특성화에도 유리하고 통폐합에 따른 재정투자를 집약시킬 수 있다. 고교 통폐합, 대다수가 당위성을 인식하고 공감하고 있다는 점에서 전혀 해결 못할 난제만은 아니다. 문제는 실천이다. 방관은 보은교육에 도움이 안 된다. 조만간 닥칠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위기에 대비, 지역사회가 지금부터 나서야 할 때다.
/김인호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