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없는 삼년산성 복원
상태바
끝없는 삼년산성 복원
  • 박은숙 기자
  • 승인 2009.11.26 09: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삼년산성이 복원에 실패한 대표적 상징물로 천덕꾸러기가 됐다. 성돌 재질이 본래 것과 다른데다 축성방식도 달리해 새로 복원한 성곽에서는 예스러운 풍취나 그윽함을 볼 수 없다는 자조마저 나온다. 보은군이 지난 2000년부터 종전 복원위주의 정비사업에서 탈피, 부분보수와 붕괴의 진행을 늦추기 위한 정비에 포커스를 맞춘 것도 실상 이 때문이다. 사업 초창기 전체 사업계획의 부재와 전문지식의 결여가 화를 자초한 것으로 보인다. 향후 국가사적 지정이 요구된다.
글 싣는 순서
1. 삼년산성은 한국의 대표산성
2. 끝 모를 복원 공사
3. 국가사적 지정에서 이젠 세계문화유산 등록 필요

▲ 복원한 삼년산성의 서문지 전경. 성돌 재질이 본래 것과 다른데다 축성방식이 전과 틀려 복원에 실패했다는 평가가 주를 이룬다.
△ 끝 모를 복원공사…430m복원에 38년 소비
1971년 성곽보수를 시작한 이후 작년까지 38년 동안 사업비 71억여원을 투입해 전면보수430m, 성벽내부 수습보수 200여m의 복원이 진행됐다. 연못터(아미지)와 문지, 건물지에 대한 발굴조사와 탐방로 정비 등의 조경공사도 병행했다.
하지만 삼년산성의 직접적인 복원사업은 1979년 보은 삼년산성 기초조사 보고서를 통해 산성의 보존방안 탐색을 제시하였지만 이듬해인 1980년 보은지역의 집중호우로 서문지 부분이 무너지면서 본격화 된 것으로 보고 있다.
충북도와 보은군은 삼년산성의 정비사업을 추진하면서 1982년 충북대학교 박물관의 도움으로 성내에 집수되는 다량의 물을 성밖으로 배수키 위한 기본자료의 수집과 성내에 현존하였을 옛 연못을 복원 정비키 위한 자료수집에 들어갔다. 수해 당시 응급발굴로 시작된 조사보고는 서문지에 잔여한 신방석 등의 유구가 두러나고 성내외를 잇는 통행로가 유실돼 일정한 보축을 요하게 됐다.
이어 발표된 삼년산성 서문지 조사개보는 정비계획으로 성내의 유수를 배수시키는 방안으로 현재의 서문유구와 그 보강을 위한 보축 아래 암거 설치와 연못지의 준설 정비를 하되 수구지의 유구는 원상을 보존하도록 조처하고 향후 완전한 산성의 보호와 정비를 위한 정밀한 조사와 연차적인 보수 정비 계획을 수립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 조사 발굴 후 간헐적인 각계각층이 답사를 진행했으나 종합적인 보존대책을 강구하기에는 너무 많은 예산과 보다 정확한 지표조사만의 과제를 남기고 서문지와 허물어진 축성의 보축만을 진행하게 됐다.
현재 산성은 외부성벽 약 30%, 내부성벽은 보수구간 외 약 70% 이상이 잔존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성벽의 지속적인 붕괴로 시급한 보수대책이 요구된다는 진단이다.
군은 2012년까지 5년간 복원사업에 사업비 25억원을 들여 남문지 및 곡성 보수 2개소, 성벽내측 수습정비 570m, 화장실 및 휴게시설 등의 편의 시설, 성내 보은사 및 아미지 주변과 동남곡성에 대해 발굴조사를 계획하고 있다.
보은군 관계자는 “실질적으로 문화재청과 도는 1996년 세계문화유산 잠정목록에 등재된 후 삼년산성에 대한 관심을 기울였다”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에 신청을 준비 중이지만 그 가능성이 현실적으로 희박해 충북도는 상당산성, 충주산성, 덕주산성 등과 묶어 등재를 추진할 계획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보은문화원 박진수 이사는 “삼년산성의 현 모습은 종합적이고 정밀한 진단 없이 수해로 인한 피해복구 차원의 석축보강사업만을 진행하고 있는 듯한 인상”이라며 “문화재청과 충북도, 보은군 실무자들이 지금의 복원방향보다는 산성의 활용도와 어떤 모습으로 복원해야 할지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삼년산성에 대한 학술조사는 2005년 중원문화재연구원의 ‘아미지 정비구역 발굴조사’ 등 7차례 이뤄졌다. 학술조사결과 자문위원들은 성벽에 대한 복원위주로 진행된 삼년산성의 정비와 조사자마다 다르게 파악하고 있는 삼년산성의 제원에 대한 문제점을 짚었다.
따라서 향후 삼년산성에 대한 조사는 우선 산성의 제원부터 정확히 파악해 전체 평면 및 단면, 입면과 시설물의 현황을 정확히 밝히는 조사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의견이다. 또 삼년산성 주변에 분포하고 있는 고분군에 대한 정밀지표조사 및 발굴조사를 통해 국가적으로 지정해 더 이상의 훼손과 도굴이 발생되지 않도록 조처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최근 문화재청은 산성의 성곽복원보다는 현 상태를 유지하면서 훼손을 방지하는 쪽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인호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