옷장 등 밀폐된 공간은 쉽게 습기가 차 곰팡이가 슬고 좀벌래가 생길 수 있어 특별히 주의해야 한다.
▲ 습기와 `전쟁'을 = 장마철에는 습기 제거제나 숯 등을 구석구석 배치하고 옷 수납도 통풍이 잘되는 대나무 바구니 등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
특히 습기는 바닥부터 차 올라가므로 습기 제거제를 둘 때는 옷장 아래쪽에 둬야 한다.
옷장 아래에는 신문지를 깔아 습기를 막고 상대적으로 습기에 약한 모직물과 폴리에스테르 제품은 위쪽에 수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풍기나 에어컨을 켤 때 옷장이나 이불장을 열어두고 환기를 시키는 것도 한 방법이다.
주방 서랍이나 신발장 등에는 말린 녹차 잎과 실리카겔 등을 넣어 두고 신지 않는 신발에는 신문지를 구겨넣는 것도 좋은 제습 방법이 될 수 있다.
벽지에 곰팡이가 끼었다면 먼저 집안 구석구석 먼지를 없앤 후 곰팡이가 낀 곳에 곰팡이 제거제를 뿌려두었다 2시간 후 걸레로 닦아준다.
또 화장실이나 욕실 타일 사이에 양초를 발라주면 습기로 인해 곰팡이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 악취를 제거하라 = 장마철에는 주방이나 화장실에서 악취가 올라와 불쾌지수를 높일 수 있다.
장마철에는 개수대와 배수구 등을 세제로 닦은 뒤 식초를 묻혀 문지르면 좋다. 설거지가 끝난 싱크대 배구수에 식초나 뜨거운 물을 흘려보내는 것도 좋은 악취 제거 방법이다.
개수대에 낀 물때를 제거하는데는 녹차가 효과적이다.
우려내고 남은 녹차 티백의 내용물이나 녹차잎 찌꺼기를 뿌려두면 악취는 물론 물때도 말끔히 벗겨진다.
음식물 쓰레기는 물기를 최대한 빼고 쓰레기통 바닥에 신문지를 깔아주면 냄새를 줄일 수 있다.
또 소다를 쓰레기 위에 뿌려주면 산성의 악취 성분이 중화되면서냄새를 없앨 수 있다.
(제공 : 네이버 생활문화)
저작권자 © 보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