맑고 깨끗한 물 보존
상태바
맑고 깨끗한 물 보존
  • 보은신문
  • 승인 1994.03.2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월22일 세계 물의 날을 맞아-
생수시판 허용과 함께 마구잡이 식 지하수 개발에 대한 우려가 높은 가운데 UN이 지난 22일을 세계 물의 날로 정해, 맑고 깨끗한 물 보존에 대한 주민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물의 날에 맞춰 발표된 개인이 준수해야 할 행정강령은 화학물질의 과도한 사용을 억제할 것 등이다. 이러한 행동강령 때문이 아니라도 인간이 최대한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하기 위해서는 기성세대는 물론 다음 세대의 주인공인 어린이들에게 깨끗한 물 사용에 대한 교육이 필수적이나, 현재의 교육으로 봐서는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물 사정이 심상치 않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다. 도시는 공자폐수, 농촌은 가축 폐수로 수질이 급격히 떨어져 자정작용의 효과가 거의 없을 정도이다. 고기잡고 빨래하던 농촌의 시냇물에서도 더 이상 물고기가 살지 않고 물고기가 산다해도 먹을 수 없는 상태이다. 더구나 대부분 지하수를 이용하는 농촌에서는 오염된 각종 폐수가 지하로 스며들어 인근의 펌프나 자가 수돗물에서 악취가 나는 등 나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최소한의 환경이라도 보전하기 위해서는 더 이상 수질을 악화시키지 않고 보호하기 위해서 공장폐수 및 도시 및 도시 생활하수를 위한 정화시설 뿐만 아니라 가축 사육농가가 많은 시골 벽지에도 완벽한 정화시설 설치가 시급하다. 더구나 국내 물 수요는 지표수로 충당하는 절대 공급량을 심각하게 넘어선 실정이므로 지하수 개발은 필연적이다.

결국 모자라는 만큼은 지하에서 물을 퍼올 릴 수밖에 없는 상황에까지 된 것이다. 급기야 정부에서도 지하수 활용을 심각하게 검토, 현재 지하수 활용을 골자로 하는 수자원 대책을 내놓았다. 이에 따라 기업체에서는 생수판매에 눈독을 들이고 있고 지하수 붐이 일어 지하수 고갈도 염려되나 한번 오염원에 노출된 지하수는 거의 회복이 불가능하다는 심각성이다.

따라서 마구잡이 식 개발이 되지 않도록 지하수 개발 허가 시신 중을 기하고, 물의 오염을 막고 물을 아껴 쓰는 국민 계몽운동이 전개되어야 하며, 실생활에서 실천될 수 있도록 하는 가정교육·학교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