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광수 사주와 조 충 전무가 폐업을 운운하며 노조와 충청도민에게 협박을 일삼고 있는 현재, 조 충전무가 노조원들에게 그나마 얼마 되지 않는 퇴직금 지급여부를 협박하는 방법으로 노조를 와해시키겠다는 문건을 작성한 것으로 드러났다.
전국언론노조 충청일보지부(위원장 문종극)가 최근 입수한 ‘퇴직금 및 정산에 대한 소견’이라는 문건은 ‘10월 27일 전무이사 조 충’ 명의로 작성됐으며 노조를 와해시키기 위해 퇴직금 지급여부를 무기로 삼겠다는 의도를 분명하게 밝혀두고 있다.<문서참조>
이 문건은 ‘충청일보가 사업을 계속하는 경우’, ‘충청일보가 장기 직장폐쇄를 하는 경우’ ‘충청일보가 정산을 하는 경우’로 나눠 사측의 대책방안을 언급하고 있다.
이중 ‘충청일보가 장기 직장폐쇄를 하는 경우’에서 “노조원의 조직을 와해시키기 위한 필수 조건은 퇴직금 지급이 관건”이라면서 “현재 노조 가담자 대부분이 회사의 장래 운영에는 별 도움이 되지 않는 상태이므로 이들의 조속한 퇴직만이 노조조직을 와해시키는 가장 빠른 지름길”이라고 밝혔다. 또 “따라서 사태의 조속한 해결은 ‘퇴직금만은 지급 받을 수 있다’라는 강박 관념으로 해결하는 것이 지름길“이라고 언급했다..
또 이 문건은 ‘충청일보가 사업을 계속하는 경우’에는 퇴직금을 중간정산하고 연봉제로 새출발하고 ‘정산할 경우’에는 “‘현재 보유하고 있는 자산을 폐업 이전에 매각, 비조합원의 퇴직금을 우선 정리하고, 폐업 정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함”이라고 언급, 폐업을 하더라도 조합원들에게는 전혀 퇴직금을 주지 않거나 조합 탈퇴를 하면 지급하는 방식으로 노조를 와해하겠다는 속셈을 드러낸 것으로 해석할 수 밖에 없다.
이 문건은 최근들어 조 충전무가 비조합원들에게 사표를 강요해왔던 것으로 미뤄 비조합원들에게만 퇴직금을 지급하고, 노조원들에게는 퇴직금을 주지 않겠다는 매우 파렴치하고 비도덕적인 의도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충청일보노조는 이 문건이 조 충 전무가 어떤 방식으로 충청일보 사태를 향후 어떻게 전개시키려는 의도를 갖고있는지 드러낸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또한 얼마 되지 않는 퇴직금을 무기로 노조와해를 시도하겠다는 문건을 만든 작자를 파면하지 않고 있는 임광수 사주(임광토건회장)도 이제 그 실체를 드러내고 말았다고 보고 있다.
이에따라 충청일보노조는 더 이상 임광수 사주와 조 충전무에게 기대할 것이 없다는 것으며, ‘임광수 퇴진과 충청일보 환수투쟁’의 강도를 높여 충청일보를 악덕사주의 손아귀에서 구출해 진정한 주인인 도민의 품에 안길 수 있도록 할 것임을 천명한다.<끝>
<이 문건은 노조가 문건원본의 내용을 옮겨놓은 것입니다.원본 복사본은 기자회견장에서 배포합니다.>
퇴직금 및 정산에 대한 소견
1. 충청일보가 사업을 계속하는 경우
현재의 급여수준으로 월 평균급여 1,650,000원의 25년차 사원의 퇴직급여가 약 51,000,000원 임.
그러나 이 퇴직금 액수는 급여 인상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하므로 회사의 퇴직급여 부담이 가중됨.
따라서 충청일보가 사업을 계속하는 경우도 중간 정산 형식으로 현재의 급여를 기준하여 지급하고 연봉제로 새 출발하는 것이 자금면에서 상당한 이익이 있음.
2. 충청일보가 장기 직장 폐쇄를 하는 경우
현재의 문제점은 10여명의 노조 극열 주동 세력 임.
이에 따르는 노조원의 조직을 와해시키기 위한 필수 조건은 퇴직금 지급이 관검 임.
현재 노조 가담자 대부분이 회사의 장래 운영에는 별 도움이 되지 않는 상태임으로 이들의 조속한 퇴직만이 노조조직을 와해시키는 가장 빠른 지름길 임.
따라서 사태의 조속한 해결은 “퇴직금만은 지급 받을 수 있다”라는 강박 관념으로 해결하는 것이 지름길 임.
3. 충청일보가 정산을 하는 경우
현재 보유하고 있는 자산을 폐업 이전에 매각, 비조합원의 퇴직금을 우선 정리하고, 폐업 정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