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언론노동조합 충청일보지부(위원장 문종극)는 대주주 임광수 임광토건 회장의 부실경영과 대리인 조충 전무의 부당인사와 각종 비리로 인해 야기된 노조의 파업투쟁을 무력화하기 위한 사측의 직장폐쇄 움직임에 임광수 회장 부실경영규탄 상경집회 등 강력투쟁을 펼치기로 했다.
대주주 임광수 회장은 조합원들의 경영정상화 방안은 무시하고, 지난 달 30일자로 조충 전무 명의로 조합원들에게 직장 복귀를 요구하는 편지를 발송했다.
사측은 4일 오전 지헌정 사장의 명의로 노조에 보낸 공문을 통해 노조원들이 회사정문을 통한 출입을 막기 위해 건물 2층 창문과 윤전실 앞 주차장(1층)을 연결하는 비상계단설치 방침을 통보했다. 사측은 또 노트북, 카메라 등 취재장비 반납을 6일까지 할 것을 요구했다. 회사 시설물을 보호하기 위한 명분으로 진행된 이 같은 행위는 노조원 복귀시한인 6일 직장폐쇄를 하기 위한 수순으로 풀이되고 있다.
또한 사측은 4일자 신문에서 사고를 통해 민경탁 논설실장을 의원면직, 이정균 논설위원을 해촉이라는 형식으로 회사에서 몰아냈다.
민경탁 논설실장은 “사람답게 살고 싶다는 충청일보 가족들의 절규가 가슴을 파고 든다”며 ‘후배에게 드리는 글’을 통해 이정균 논설위원과 함께 지난달 22일 사설집필을 거부했다. 대주주 임광수 회장의 중부권 최고의 언론으로 육성하겠다는 다짐이 오늘에는 일그러진 자화상이라고 밝혔다.
지난 달 30일에는 노조 집행부와 대주주 임광수 회장과의 경영정상화를 위한 면담이 예정돼 있었다. 임 회장의 고의적인 면담회피로 무산되고, 대리인 지헌정 사장과 별 소득 없는 만남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노조는 경영정상화를 위해 대주주 임광수 회장의 결단을 촉구했다.
이에 대해 문종극 노조위원장은 “경영정상화 방안에 대한 무응답과 노조가 그동안 요구했던 정론지로 거듭나기 위한 편집권 독립, 저임금에 시달리는 직원들을 위한 저임금 체계 개선안, 파업 중에는 외부인력을 사용할 수 없음에도 불법하도급 제작 등에 대한 어떠한 답변도 없이 조합원들이 무조건 복귀하라는 협박성 테러일 뿐”이라고 말했다.
특히 노조는 외부인력을 동원한 불법 하도급을 통한 사측의 제작의뢰는 노동관계법에 위반되는 부당노동행위임에도 불구, 불법행위를 지속하고 있는 것에 대해 청주지방노동사무소에 고소장을 제출하고 청주지방법원에 ꡐ도급금지 가처분 신청ꡑ을 제출한 상태이다. 이밖에도 충청일보 소유의 운보 김기창 화백의 그림을 어디론가 빼돌린 조충 전무의 행위에 대해서도 진실을 밝힐 것을 요구했다.
이에 따라 노조는 전 조합원의 총력투쟁의지를 담아 대주주 임광수 회장의 14년 대리경영의 부실실태를 규탄하는 서울집회를 이번 주부터 개최할 예정이다.
충청일보 노조는 교섭 중 조합원 인사이동 시도 등 사측의 불성실 교섭으로 임금단체협상이 결렬되고, 충북지방노동위원회의 조정중재 중지결정으로 노조는 지난 달 22일부터 대주주 임광수 회장의 경영정상화 촉구와 조충 전무 사장임명 철회를 촉구하는 총파업에 돌입했다.
전국언론노동조합 충청일보지부
우 361-766 청주시 흥덕구 사창동 304 전화 043-279-5140․팩스 043-279-5143 문종극 위원장 011-469-6013 한인섭사무국장 011-9846-4779
“절필”논설위원 즉각 ‘사고’게재 분노
참언론을 위해 몸부림치는 후배들과 뜻을 함께하기 위해 ‘절필’을 단행했던 충청일보 논설위원 민경탁논설실장과 이정균논설위원에 대한 즉각적인 ‘사고’게재에 대해 분노을 금치 못한다.
두분의 논설위원들은 참언론으로 거듭나기위해 후배들이‘총파업’에 들어가자 ‘더 이상 부끄러울 수 없다’며 사설 쓰기를 거부하며 ‘절필’로 후배들과 함께했다.
이어 두분의 논설위원들은 회사측에 합의의 표시로 사표를 제출했다.
이어 회사측은 즉각적으로 사표를 수리하고 10월4일자 신문에 ‘사고’를 게재했다.
이는 기존 사직서를 제출하는 사원들에 대해 ‘사고’를 게재하지 않던 것을 이번에는 전격적으로 게재한 것으로 사측의 사악한 의도를 드러낸 것이다.
더욱이 민경탁 논설실장은 충청일보에 입사해 30여년을 외길로 걸어오신분으로 회사측에서 이같은 대우를 해서는 안되는 것이다.
그럼에도 회사측은 두분의 논설위원을 일거에 헌신짝처럼 버리는 몰인정한 행태를 보였다.
이는 58년 역사의 언론사에서는 있을수 없는 일로 충청일보 현경영진의 저급한 양식과 언론관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충청일보 노동조합에서는 이같은 문제를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며 경영자들이 분명히 후회하도록 해줄 것임을 천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