九屛山(觀光團地造成)의 精氣 바로 세우기로 報恩發展을 앞당겼으면
icon 삼거리
icon 2004-09-16 00:09:11  |   icon 조회: 958
첨부파일 : -
중앙지에 충북보은 구병산(아홉개의 병풍 877m) 자락에 관광단지 조성

~ 8만여m2에(국토이용계획)2010년까지.....숙박,휴양기능으로 속리산관

광 활성화!

마로면 적암리 구병산자락 조성 .....속리산과 구병산잇는 등산로-43,9km!


*충청명소조성을 위하여 알고있는 소견건의

***구병산을 재조명할 절호의 시대가 왔다고 봅니다***

"구봉산,구병산(구령산-남자의 사람얼굴로 보여 太祖山,9인의모습등)~일

제때 구병산으로 비하개명,태조산을 마주보고있는 대모산(여인얼굴모습)

거북바위의 심장입구,용굴속의 용머리모습등 암각화와 천제단,동학군의 격

전지,선불리의 선불상등 신비에 쌓인 임곡리 중요문화 유적지 발굴보호등

古理亞文明 發祥地 ! 忠北 報恩(靑丘國) 長安地域이 古都라

開花의 터전이될 報恩!
정감록 십승지중(三曰 報恩俗離山 四甑項近地 三十里 當亂藏身 萬無一傷)에.....속리산은 미래세에 용화세계를 이룰 미륵
부처님이 계시는 산(8이라는 숫자와 함께)이라 한다


"보은속리산아래 4개의 시루봉=동증-마로면 적암리,서증-수한면 장선리,남증-미로면 소여리,북증-내북면 백운동" 중에 한곳! -(동서남북의 시루봉 중앙에 새로운 세계가 펼쳐질때)동증이라
보은 경계에 위치한 절묘한 시루봉과


제주도 한라산이 화산폭발 이후 상고시대에 서울장안
이 웅거했던 구령산(구병산)하 고도의 터전 이 지금의
보은 장안임을 아는이 드물다,


특히 보은의 삼년산성이 고려왕건이 접전을 벌리는 사극
"태조왕건"으로 방영됐으나 한라산 화산 대폭발시에 수재해
피난처, 그후 신라 자비 마립간 13년(AD 470) 축성을 시작한
지 3년동안 총체적 난국의 재해가 잇따르자 쌓다가 포기하였
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허나 김정필저(일심일선정회:선도필첩)- 한반도의 상고사을
살펴보면 또렷이 나와 있다

"고리아 문명의 시원은 현재의 충북 보은 천고산 고원지대
(현 경북과 충북의 경계선을 공유하고 있는 임곡(임실)이라
는 동산에서 시작됐다

임곡의 옛이름은 우복골 이라고도 하고 상대골이 라고도 한다
오늘날 한반도의 충북 보은을 아직까지도 長安 이라고도 한다


장안이란
서울이란 뜻의 옛말이다 그리고 현재의 북한산및 청와대를 옛
말로 표현하자면 관터이다 이처럼 報恩의 구병산밑의 옛날 청
와대 자리가 오늘날에도 官基(관터)라 불리워지고 있으며 그
지명이 오늘날에도 옛날의 씨얼로서 전해져 오고있는 것이다


충북 보은은 자연적인 요새이다
보은에서 동으로는 상주로 넘어가는 화령고개가 있고 서쪽으로는 대전으로 넘어가는 옥천고개가 있으며 북으로는 청주로 넘어가는 미원고개가 있으며 남으로는 영동으로 넘어가는 원남고개가 있다


고개의 길목을 제외하고는 높은 산준령이 병풍처럼 쳐져 있는*韓半島의 正確한 中心地點이다

(고등학교때 교과서에는 중심점이 보은이라고 새겨진 것이다) 더구나 보은이라는 고원지대는 평야가 있으며

자연 저수지가 있어 식수와 농경에 천연적이다
그 저수지의 이름은 구병산 계곡의 삼가 저수지(1962년완공)이다


이湖水를 둘러싸고 있는 산의 형상이 龍이 호수의 물을 안고있는 형상이다 삼가저수지는 속리산의 中心地로 천황봉과 구병산 사이를 막은 호수로써 40여호의 가구및 면적이 36만평, 충북에서 제일큰 저수지로 저수지 바닥에는 20만평이 넘는 전답이 물에 잠겼다


따라서 한반도 에서의 최초의 문명발상지로서 임곡은 태극 형상의 지형모습을 하고있다

충북 임곡은 남쪽에 위치하며 붉은땅이고 경북 임곡은 북쪽으로
서 푸른땅이다 경계선은 시냇물이 흐르고 그시냇물은 산정인데도 어떠한 가뭄에도 마르지 않으며 태극기의 음과 양,하늘과 땅을 구분시키는 가름의 산으로 보여진다

뿐만 아니라 충북과 경북을 잇는 국도선상에서 붉은 땅쪽에는 赤岩마을 이라하여 오늘날 적암휴게소가 자리하고 있고


푸른땅쪽에는 靑岩마을 이라 하여 오늘날 평온이라 부르며 흑연및 석탄광산이 있다
분명 양지역의 돌도 한쪽은 붉고 한쪽은 검푸르다 검푸른것이 석탄인 것이다 여기에 동서남북의 길이 4곳으로 나 있다 "

전라북도 무주군의 덕유산과 보은군의 속리산에서 발원하는 금강 상류가 남북을 관통한다.
2004-09-16 00:09:11
210.103.72.1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