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희선은 과연 독립군의 후손인가?
icon 조갑제홈피독자
icon 2004-07-24 20:40:32  |   icon 조회: 930
첨부파일 : -
이 글은 조갑제 홈페이지 http://www.chogabje,com 의 최신정보파일에 있는 것임.


김희선은 과연 독립군의 후손인가?


요새 갑자기 인터넷에서 열린우리당 김희선 의원의 조상문제가 거론되고 있다. 여태까지 언론과 방송을 비롯해 세간에서는 대부분 김희선의 조상이 독립운동 하던 사람이라고 알고 있었다. 실제로 김희선이 홈피 '안녕하세요' 코너에서 직접 밝힌 자료도 다음과 같다.

*할아버지(김성범-독립군 자금책) - 아버지(김일련-한독당 비밀청년당원)
*작은 할아버지(김학규-광복군 제3지대장)

또 홈피 '살아온 길'에서는 자신을 '한국광복군 제3지대장 김학규장군 손녀'라고 적시하고 있다.

보통 우리나라 사람들은 '손녀'라면 직계를 생각한다. 그런데 자신을 '작은 할어버지의 손녀'라고 소개하는 것은 우스꽝스러운 일이다. 같은 홈피에서도 이렇게 다른 표현을 기록하고 있다는 것이 우습지만 일단 넘어가겠다. 그리고 김학규에 대한 이런저런 평은 일단 뒤로하겠다.


#의문점

1. 작은 할아버지 김학규와 김희선의 성씨 본관이 다르다.

-동아일보 인물정보를 보면 김희선의 본관은 의성(義城) 김씨로 나와있다. 다른 인물정보를 보면 김해 김씨로도 나와있다. 어쨌든 중요한 것은 김희선의 본관은 작은 할아버지라는 김학규[金學奎 1900∼1967]의 본관이 다르다는 점이다. 김학규는 안동 김씨다(아래 야후사전 참고). 세상에 이런 일이 있을 수 있을까?

2. 김희선의 할아버지 김성범과 작은 할아버지 김학규의 항렬이 다르다.

-우리 집안은 아직도 꼬마들까지 항렬을 써서 이름을 짓고 있다. 하물며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대표적인 보수집안인 안동 김씨 가문에서 항렬을 따르지 않고 그냥 이름을 지었을까? 설령 그럴 수 있다고 해도 참으로 의문이 아닐 수 없다.

* 다음은 안동김씨 출신분이 안동김씨의 항렬 내력에 대해 올린글입니다.

정확히 말하면 김학규 본관은 신안동입니다.

구안동의 시조는 신라 경순와 9대손인 충렬공(김방경)으로 이어져 내려오고 신안동은 김선평을 시조로 고려 태조를 도와 안동에서 전투를 하여 고려 건국공신이 되었으며 이후 자신들의 본관은 안동으로 하였습니다.
그러므로 구안동과 신안동은 시조가 전혀 다릅니다.

신안동의 학렬은 규-진-한-동 으로 김좌진 장군 김두한 김을동으로 이어집니다. 그러므로 김희선의 부친이나 조부는 학렬을 따르지 않았나보죠?
만일 학렬을 따르지 않았다 하도라도 호적상 이름과 상이할 경우 족보에 등재하기 위해서느 학렬을 따라 지은 이름을 별도로 아호 처럼 사용합니다.

이 경우를 미루어 본다면 김희선의 학렬은 상당히 높습니다.
조부가 [규]자 돌림이므로 김희선대의 돌림자는 [한]자가 됩니다.
김좌진 장군의 부친이 [규]자 돌림입니다.

참고로 김구 선생은 구안동입니다.구안동 학렬은 태-식-용-교-종 으로 이어집니다. 제가 구안동이라 대강은 압니다.
김구 선생도 학렬에 맞춘 이름이 아닙니다. 이경우가 족보에 기재할 때는 반드시 학렬에 맞춘 이름을 기재하고 괄호를 이용하여 다른 이름을 같이 병기해 줍니다.


아래는 여러 독자의견과 참고자료이다.

==================================================================

<동아닷컴인물정보>

성명 김희선 金希宣 제16·17대 국회의원(서울 동대문갑, 열린우리당)

생년월일 1943/10/28 (양력)

출생지 평남 평원

본관 의성 (義城)

==================================================================

김희선(金希宣) Kim Hee Sun

1943년 10월 28일(양력)

출마 (예정) 선거구 : 서울 동대문구갑
국회의원
소속 정당 : 열린우리당

본관 김해

출생지 평남 평원 e-mail/홈페이지 khs@imhere4u.or.kr / http://www.imhere4u.or.kr
종교 기독교 사무실 전화 02-924-0660
본적 충남 예산 보좌진(이름/전화) 이범준 / 02-924-0660
가족관계 배우자 방국진과 1남1녀 의원 당선횟수 초선16

입학년도 졸업년도 출신학교 및 전공
19** - 19** 경기평택 중앙초등학교 졸업
19** - 19** 경남진해 충무중학교(현 진해서여상) 졸업
19** - 19** 충남대전여상2년 중퇴

1943 평남 평원 출생 (한국광복군 제3지대장 김학규장군 손녀)

1984 한국여성의전화 초대원장
1989 민주쟁취국민운동 서울본부 상임의장
1994 통일시대민주주의국민회의 공동대표
2001 민주화운동관련자 인정
2002 제16대대선 노무현후보 중앙선대위 여성본부장
2004 대덕대학 전임겸임강사(현)
국민생활체육협의회 이사(현)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간사위원(현)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현)
국회 과거사진상규명특별위원회 간사위원(현)
열린우리당 재래시장활성화 특별위원장(현)
열린우리당 전국여성중앙위원장(현)
민족정기를세우는국회의원모임 회장(현)

==================================================================
<야후사전>

김학규 [金學奎 1900∼1967]

요약
광복군. 호는 백파(白波).

본관은 안동(安東).

평안남도 평원군(平原郡) 출생. 만주(滿洲)의 펑톈성[奉天省] 류허현[柳河縣]의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와 문회고급중학교(文會高級中學校)에서 공부하였다. 1931년 조선혁명당(朝鮮革命黨)에 가입, 당군사령부(黨軍司令部) 참모로 중국자위군(中國自衛軍)과 합작하여 일본군과 싸웠다.

조선혁명당의 대표로 유동열(柳東說)·최동오와 함께 난징[南京]에서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 대표인 조소앙(趙素昻)·김두봉(金枓奉) 등과 협의하여 항일전선통일동맹(抗日戰線統一同盟)을 결성하고, 다시 38년에 한국독립당과 한국국민당(韓國國民黨)을 통합하여 임시정부 외곽단체로서의 구실을 다하도록 조직을 강화하였다. 40년에 충칭[重慶]의 한국광복군(韓國光復軍) 참모로 취임 후 곧 참모처장대리로 임명되어 항전을 계속하였으며, 이듬해 광복군 제 3 지대장으로 취임하여 한국인 학병과 지원병을 광복군에 편입시키는 데 많은 공을 세웠다. 귀국 후 정치활동을 하다가 49년 15년의 형을 선고 받아 옥고를 치르렀으며 출옥 후 60년에 한국독립당을 재건하고 대표최고위원에 취임하여 활동하다 별세하였다. 62년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단장(單章)이 수여되었다.

==================================================================

의견1

작은 할아버지인 김학규 장군과 친할아버지 김성범씨 간의 항렬이 틀리다. 안동 김씨같은 보수적인 가문이 19세기말에 항렬를 어기고 이름을 지을 수가 없다. 게다가 안동 김씨 홈페이지에도 김희선은 안동 김씨 출신 국회의원 명단에도 올라있지 않다 하니 김희선 본인이 여러 차례 밝힌대로 김해김씨가 확실해 보인다. 어찌 된 일인가? 안동김씨 할아버지에 김해김씨 손녀라...

==================================================================

의견2

김해김씨 항렬에 쓰이는 항렬 한자를 조사해보니
金學奎(김학규)라는 항렬 한자를 쓰지 않는다고 합니다.
배울學자와 별奎자는 김해김씨 항렬과 이름과는 별개임이 밝혀졌고..
또, 광복군 3지대장과 건국공로훈장까지 추서된 분의 본관을 틀리게 기재하는 것은
매우 드믄일로, 그런 착오가 있다 하더라도
그 자손, 그 방계 혈족이 문제제기를 하여
오기를 바로잡기 때문에 그런 일은 거의 있을 수 없다고 봅니다.

==================================================================

의견3

선거공보에 백파장군의 손녀라고 기재했다면
허위사실 기재이고 선거법 저촉이 확실하지요.
의원직 상실도 가능할겁니다.

특히나 독립운동가를 사칭했다는 점에서 사회적으로 동정의 여지가 없고,
조상을 멋대로 언급했다는 점에서도 전통적인 관념상 용서받을 수 없지요.
2004-07-24 20:40:32
219.254.25.212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