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전사 은행나무
icon 보은신문
icon 2001-08-28 18:28:25  |   icon 조회: 2177
첨부이미지
옛날 조선시대때 보은군 회남면 조곡리 2구에 "마전사(麻田寺)"라는 절이 있었는데 이 절에는 암, 수의, 두 은행나무가 있었다. 암나무는 절 경내에 있었고 또 한 그루(수컷)는 동구밖에 있었다고 한다. 이 두 나무는 서로 바라보며 때가 되면 열매를 많이 맺어 큰 소득이 되었으나 가을에 낙엽이 떨어지기 시작하면 아침 저녁으로 청소를 하는데 여간 귀찮은 일이 아니었다.

어느 해인가 주지승은 절 경내에 서 있는 한 그루를 베어 버리면 청소하기에 용이하다고 생각하고 베도록 하였으나 행자승들이 일제히 반대를 하고 협조하지 아니하므로 손수 큰 톱을 갖다 대고 베기 시작했다. 행자승들이 반대를 한 것은 비록 낙엽질 무렵에는 온 사찰 경내가 지저분하지만 경내에 은행나무가 있어야지 경관에 어울린다며 베는 것을 반대한 것이다.

주지승이 나무를 베기 시작한지 사흘만에 나무가 쓰러졌는데 그와 동시에 은행나무에서는 우유빛 백색물이 솟아나왔고 나무를 벤 주지승은 톱을 쥔 채 현장에서 피를 쏟고 숨을 거두었다. 이와 같은 변고가 생기고 부터 절은 퇴락하게 되었고 이곳에 마을이 생기기 시작하였는데 동구밖에 서 있던 은행나무는 나라에 변고가 있을 때마다 울기 시작했다고 한다.

임진왜란이 일어날 때도 한달 전부터 울었고 6.25동란 때는 약 1주일을 두고 마을이 울리도록 깊은 밤중에 울었다고 한다. 지금도 이 나무는 나라에 변고를 미리 예고해 주는 신기한 나무로 여기고 있는데 보은군 나무로 지정되어 보호를 받고 있다.
2001-08-28 18:28:25
211.172.145.51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