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인팔경(懷仁八景)
icon 보은신문
icon 2001-08-07 16:12:02  |   icon 조회: 1125
첨부파일 : -
옛 백제시대부터 고을이었던 지금의 보은군 회북면 중앙리를 중심으로 한 곳에 팔경이 있다 하여 예부터 이곳 사람들이 사랑하던 경승이다.

그 첫째가 "아미반월(蛾眉半月)"이라 하니 아미산상에 걸려 있는 조각달을 말한다.

그 두 번째가 "남계어화(南溪漁火)"이나 남쪽시냇가, 즉 속칭 "밤새"라고 부르는 시냇가에서 밤고기를 잡는 광경이다. 칠흑같이 어두운 밤에 횃불을 여기저기서 밝히고 고기를 잡던 선인들의 운치가 마냥 그립다.

그 셋이 "북수청풍(北藪淸風)"이니 여름철에 북쪽에 있는 숲속에서 불어오는 맑은 바람을 말함이다. 속칭 "웃수머리"라고 불리는 현재 면사무소가 있는 곳에 지금도 느티나무가 더러 남아 있지만 옛날에는 이곳에 큰 나무숲이 있었고 이 숲속에 여름철이면 사람들이 몰려들어 피서를 즐겼다고 하는데 그 모습의 아름다움을 표시한 것이다.

그 넷째가 "옥녀탄금(玉女彈琴)"이니 옥녀봉에서 거문고를 타며 즐기는 모습을 말하는 것이고

다음이 "금수단풍(錦繡丹楓)"이니 금수봉의 단풍이 든 가을철의 모양이다.

여섯째가 "송정백학(松亭白鶴)"이니 송정봉 소나무 가지에 하얗게 날아와 앉던 백학의 모양을 말하는 것이다.

일곱째가 "사직취송(社稷翠松)"이니 사직단 봉우리에 푸르게 우거진 소나무 숲을 말한다.

끝으로 "부수단하(富壽丹霞)"이니 부수봉에 아침 노을을 말하는 것이다.
2001-08-07 16:12:02
211.172.145.51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