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굴 있는 농산물을 만들자(5)
1994-12-03 보은신문
군내 경제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는 농축산업에 대해서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참석자들은 한결같이 군내 농축상품 상표의 통일화가 필요하며, 이를 이해서 생산자인 농민과 농업 관계자들의 의식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다음은 좌담회에서 논의된 요지이다. <편집자주>
일시 : 1994. 11, 21
장소: 보은신문사
사회: 본사 이환욱사장
참석자: 김성수 농산물 검사소장, 김정수 군청산업과장, 김흥구 농촌지도소 기술보급과장, 신현성 군농협경제과장, 류관형 보은대추작목반장, 어영호 속리산농협판매부장, 이익규 농어민후계자 연합회장<이상 무순>
기록정리: 박승서 기자
사회: 보은 경제에서 농촌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김정수: 정확한 통계는 없지만 94년에 예상되는 총 수입이 2천3백억 정도이고, 그중 1천1백96억이 농축산업의 소득으로서 군 전체 소득 중에서 52%정도 차지하고 있다.
사회: 군 경제에서 차지하는 농축산업의 비중이 앞으로 어떻게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나?
신현성: 일본의 경우 농외 소득이 66% 저도 된다. 그래야만 장지적으로 농가 경제가 안될 수 있다.
사회: 타지역의 농축산물과 비교하여 보은 농축산물의 경쟁력은 어느 정도 인가?
어영호: 농산물 상품은 우수한데 다른 지역보다 단위당 생산비가 높아 가격 경쟁력에서 떨어진다. 대도시에서의 판매 장소 등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다.
김성수: 보은의 특용작물은 대추이고 주요 생산품은 쌀인데, 전국적으로는 50내지 60개소에서 쌀에 대해 품질인증을 맡은 곳이 있다. 그런데 보은 쌀이 품질 좋은데 품질인증을 받지 못하는 이유는 품질인증을 받으려 앞장서는 작목반이 없기 때문이다. 과수의 경우는 상품 선별이나 포장관리에 있어서 다른 지역에 비해 허술하고 수확 후 관리가 다른 지역에 비해 낙후되어 있어서 품질은 좋은데 제 가격을 받지 못하고 있다.
류관형: 품질인증을 받으려면 조직이 필요한데 대부분의 농산물 생산자들이 조직이 없이 상품의 선별이나 포장 등에 있어서 철저하지 못하다.
김흥구: 도 농산물 품평회에서 보은군이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품목별로 상당히 우수해서 20개 이상의 품목이 입상했다. 농산물의 품질은 재배 과정부터 철저해야 하고, 양적인 면에 치우치다보면 질적인 면이 문제가 된다. 상품의 선별이 다른 지역에 비해 문제가 있고, 그 문제를 개선시켜야 좋은 가격을 받을 수 있다.
류관형: 조직 구성을 통해 농축산물의 품질을 높여야 한다. 여러 사람이 모여서 의논을 하면 좋은 의견도 나오고 상품 포장화에도 서로 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농협 같은 기관에서도 작목반이 생산한 농산물을 싼 가격에만 사들이려고 하지말고 제 값을 주고 구입해야 한다.
어영호: 농협에서는 보은 농산물을 판매해 주어야 하는데 타 지역의 농산물과는 경쟁력이 떨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농협에서 우수한 품질을 골라 상류층들이 많은 지역에서 높은 가격에 판매해야 하는데 판매장소가 부족해 판매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좀더 많은 양을 소비시키기 위해 구입단가를 낮추어 더 많은 양을 구입하려는 것이다. 보은 농산물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단위 생산비를 낮추어야 한다.
김정수: 농협은 물량을 많이 확보해서 싸게 판매하려고 하고, 류반장님은 같은 대추농가는 품질이 우수한 만큼 비싼 구입가를 농협에 요구하고 있는데, 작목반과 농협이 가격에 대한 차이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앞으로 대추나무를 계속 심어나가면 이런 문제는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농산물 생산에 있어서 품질 위주냐 생산량 우주냐의 문제는 세계적으로 농축산물 시장이 개방되는 추세에서 살아남으려면 고품질 위주로 나가야한다고 생각된다.
이익규: 품질 위주의 생산이 옳다고 생각한다. 공판장에서 복숭아 판매가격을 알아보니까 한 박스에 3만5천원하는 것이 있는 반면 3천5백원하는 것도 있다. 좋지 않은 품질의 복숭아 열 박스가 좋은 품질의 한 박스 밖에 가격이 나가지 않는다면 농촌 일손 부족이나 기타 여건을 고려해볼 때 고품질의 상품을 생산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신현성: 개당 2천5백원의 가격에 팔리는 감곡 복숭아처럼 고품질의 상품 생산도 중요하지만 수요를 어느 정도는 충족시킬 수 있는 생산량의 증가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사회: 품질 위주로 생산을 하되 단위당 생산량도 중요하고 공급 물량을 어느 정도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는 의견들이 개진되었다. 그리고 품질 향상을 위해서는 작목반 같은 조직이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좋은 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