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굴 있는 농산물을 만들자(3)
1994-11-05 보은신문
현재 영국, 미국, 일본 등의 자치단체는 경영기법을 이용해 행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현대 행정이론에서는 신행정론(新行政論)으로 부르고 있으며 1968년 미국의 젊은 학자들을 중심으로 주장되었던 이론이다.
신행정론의 이론적인 특징 중의 하나는 '행정조직은 수익자, 고객을 감독 대상으로만 보지 않고 수익자의 이익을 적극적, 직접적으로 도모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조직은 관리상의 필요보다 수익자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져야 하며 수익자가 조직의 산출내지 효과성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전게서-' 우리나라도 지방자치를 앞두고 선진국처럼 경영기법을 실제 행정에 적극적으로 도입, 자치단체를 마치 하나의 기업으로 간주해 이익을 창출해 고객(주민)의 생활 향상을 적극 도모하려는 경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비추어 볼 때, 또한 '얼굴 있는 농산물을 만들기'를 좀더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보은군의 행정에 경영기법인 CIP란 Corporate Identity Program의 약자'로서 기업이 미지 통일화 계획이라고 번역될 수 있다.
「CIP와 상표전략」 김연수 편저. CIP는 '기업성장의 전환기에서 자기검증(自己檢證)과 자기표현이라는 발전과제를 극복하고 다음 단계의 성장기반이 되는 기업고유의 가치와 개성을 창출하려는 것'-「기업이미지관리론」김원수 지음- 이다.
CIP의 효과는 무엇인가.
가. 이미지와 지명도(知名度)가 향상된다. 예컨대, 모든 제품에서 자신의 이미지를 통일화시킨 기업과 그렇지 못한 기업이 있다고 하자. 두 기업의 규모 및 마케팅 능력이 비슷하다고 가장할 때 수요자들은 이미지가 통일된 기업을 더 잘알게 된다. 왜냐하면 똑같은 양의 물건이 팔린다고 해도 수요자들에게는 이미지가 통일된 기업의 제품이 더 많이 눈에 띄기 때문이다. 하나로 통일된 이미지가 자꾸 여기저기서 보이니까 자연히 친숙하게 되는 것이다.
나. 광고효과가 증대된다. 시장에 유통되는 자기 회사의 전제품이 스스로 선전도 되는 것이므로 양이 늘게 되고 또한 일정한 형태의 광고가 반복되어 수요자들의 뇌리에 쉽게 기억되므로 자연히 광고의 질도 좋아지는 것이다.
다. 매상이 증대된다. 소비자의 이미지 인식이 향상되고 광고효과도 높아지므로 자연히 판매실적도 올라가게 된다-「CIP와 상표전략」김연수 편저.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실행해야 하는 사항은 무엇인가.
첫째, 1983년에 제정된 보은군의 깃발과 문장, 휘장을 올해 개발한 상표로 바꿔야 한다. 혹여나 군기(群旗) 하나 바꿔서 보은군의 농산물이 얼마나 잘 팔릴까하는 의심을 한다면 그것은 대단히 잘못된 생각이다.
보은군을 상징하는 군기와 문장, 휘장은 동일한 문양인데, 그 문양은 군수 명장, 및 공무원신분증, 또한 각종인가, 허가, 면허증, 공공시설 등에 사용되고 있다. 단적인 예(例) 하나만 들어보겠다.
군내 공무원 665명(94년 8월말 현재, 청원경찰 포함)만 보은군 등록상표를 제대로 알고 있고 그 중요성을 인식했다면 등록상표 사용신청이 지금껏 단 한건도 접수되지 않았을리 있겠는가.
또한 현재 사용하고 있는 군기의 11개 톱니바퀴가 11개 읍, 면이 단합하여 힘차게 약동하는 것을 상징하고 있고, 군기의 역사가 11년이나 되는데 굳이 바꿀 필요가 있는 가라는 의구심을 갖는다면 과거에 얽매여 현재의 소득증대를 놓치고 마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상표는 자주 보아야 신뢰성이 든다. 보은군의 상표를 직접 관리하는 공무원들부터 제대로 알아야 '얼굴 있는 농산물 만들기'는 성공할 수 있다. 둘째, 군기를 포함한 군 상징의 전체적인 통일화 작업이 되어야 한다.
군 내부나 외부를 막론하고 보은을 상징할 때는 단 한가지, 등록상표를 앞세워야 한다. 즉 농산물 소비자들이 보은군은 몰라도 등록상표는 알아보게 만들어야 등록상표가 부착된 농산물의 신뢰성과 가격, 판매량이 증가할 수 있다. CIP 개념의 도입이 군 행정력 자체로 어려울 때는 외부 연구기관의 도움을 받아서라도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