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리축전 군민체전 통합이냐 분리냐
이상론·현실론 양분…의견 조정 못 봐
1994-02-05 보은신문
문화원과 체육회 측에서는 전통문화육성과 도면체전 참가선수 발굴 등 문화와 체육을 통한 군·면 민의 화합 차원에서 기존대로 봄에는 속리축전, 가을에는 군민체전을 치르자는 주장이다. 하지만 의회 측에서는 농번기 때나 또는 고령화로 인한 선수발굴 등 읍 면의 인력동원이 어렵고 행사참가운영비 등 경비조달의 문제를 들어 두 행사에 예산반영이 어렵다는 시각이다.
때문에 2개 행사를 통합하든지 새로운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 사실상 그동안 속리축전은 여러 가지 이유로 봄·가을로 시기가 변경, 개최되어 홍보에 혼선을 빚어 온데다 2일간 중복 실시 될 때도 인력동원에 어려움을 겪어왔고, 부족한 예산으로 출향 인사나 지역인사의 찬조금에 의존하는 등 많은 문제를 낳아왔다.
문화·체육행사가 면민·군민화합을 위해 반드시 분리 개최되어야 한다는 제안이 설득력 있게 받아들여지지 않는 것은 그동안의 행사 개최 시, 주민보다는 공무원이 선수로 뛰어야 하는 등 선수발굴이 어려웠고, 농번기 등의 이유로 인력동원이 어려워 사실상 전 주민 참여의 화합의 장이 아닌 참여단체 등 일부계층의 행사로만 치러져 왔기 때문이다.
5만도 안 되는 군민이 한자리에 모여 화합을 다지는 문화·체육행사가 있다는 것은 아주 좋은 일이다. 하지만 개최 비로 책정된 예산이 적은 실정에서 주민들의 주머니를 열어야 하고 심지어 출 향인들 에게까지 기대야 하는 문화·체육행사는 주민들에게 부담만 주는 행사로 본연의 의미가 퇴색되지 않겠냐는 시각이 더 많은 듯하다.
군 재정자립도 127%의 열악한 재정형편 속에 행사추진 협회의 시각 쪽 에서만 분리·개최를 논할 것이 아니라 속리산을 널리 알리고 주민과 출 향인 들간의 화합을 다지며 전통문화 육성과 체육인저변확대 등의 행사로 반전시켜 나갈 때 문화·체육행사 개최의 본연의 의미가 되살아나지 않겠냐는 것이 많은 주민들의 시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