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주도 '회남면 가꾸기 운동'

대청댐 수몰 이후 보상보다 규제만 늘어

1992-03-21     보은신문
80년대 대청댐 건설 이후 각종 환경오염 규제의 강화로 직접적인 피해를 입고있는 회남지역 주민들이 이에 상응하는 보상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회남면 가꾸기 운동을 벌일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부권 일대의 식수원 확보와 농·공업 용수 공급, 전력생산등의 목적으로 댐이 건설되면서 정부에서는 이지역을 호반도시로 조성해 관광지로 개발할 것이라고 약속, 회남면 주민들은 이에 큰 기대를 걸었으나 지금까지 이 약속은 지켜지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상수도 특별 보호구역으로 묶여 더욱 강한 규제를 받고 있는 실정이라고.

또한 댐 건설후 안개로 인해 농작물의 피해가 크고 대청호를 찾는 낚시꾼들이 버리고 간 쓰레기 마저 감당해야 하는 회남 주민들은, 같이 수몰된 옥천·청원군에 비해서도 혜택이 적어 낙후성을 면치 못하고 있다고 지적. 따라서 이지역 주민들은 "댐 건설후 혜택은 청주, 대전지역에서 보고 피해는 댐건설에 농지를 수몰당한 우리가 본다는 것은 부당하다"며 "물장사를 하고있는 수자원 공사에서 이익의 일부라도 장학금, 휴·폐경지 보상 등 환원사업이 확대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회남면 주민들은 회남면을 관광지로 가꾸기 위한 회남면 가꾸기 운동을 벌일 것을 계획하고 있는데, 회남면 김영근 번영회장(65)은 "정부의 혜택이 미미하고 각종 규제만 강화되고 있어 회남지역을 살리기 위해서는 회남면을 관광지로 만들어야 한다"며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 우선 법수리부터 금곡리까지 가로수를 심어 가로수 터널을 만들 계획으로 출향인들에게도 고향에 가로수 1주 보내기 운동을 벌이고 이후로도 다양한 사업을 펼칠 계획"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