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융복합을 생각하자

2024-12-12     박진수 기자

 언제부터인가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많은 교육적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전 대학교의 학과명은 사라지고 자유전공이니 융복합형이니 하면서 생소한 학과· 학부의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융합’이라는 용어의 사전적 의미는 ‘다른 종류의 것이 녹아서 서로 구별이 없게 하나로 합하여지거나 그렇게 만들어야 한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심지어 융복합이라는 단어가 나올 정도로 이제는 한가지가 아닌 융합과 통합, 통섭의 과학적 개념이 인문학은 물론 일상속으로 현실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지방자치제가 실시되면서 지역의 특성을 살려 지역의 강점을 살려 역점사업을 발굴하는 노력여하에 따라 지방재정을 늘리고 시책사업의 핵심을 이룰 수 있다는 점에서 너도나도 새로운 슬로건을 찾아 지역의 이미지를 키우려는 노력이 보인다.
특히 단순한 자치단체의 부서명이 행정과, 재무과, 환경과, 농축산과등의 명칭이 시대에 걸맞는 명칭으로 바뀌고는 있지만 주민들이 피부로 느끼는 체감은 그리 신통치 않다.
특히 지역경제의 척도로 지칭되는 기업유치를 위해 ’원스톱 행정‘ 이라는 타이틀로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으로 분주하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과거 민원처리 능력의 경쟁력은 좋아졌지만 민원인이 체감도는 그리 신통치 않다는 지적이다.
이러한 불만의 근원은 각 부서간 융복합에 대한 업무의 효율성을 위한 융합은 아직도 부족하다는 점이다. 업무에 성숙도가 생기기도 전에 잦은 인사교체로 인한 담당업무의 효율성을 항상 제자리를 면치 못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 복합행정, 복합민원을 넘어 시책사업 발굴에 필요한 융복합의 행정은 불필요한 업무로 전략하는가 하면 예전 방식을 고수하는 정도로 모든 일처리가 단순업무에만 그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생긴 말이 있다. 민관협력이라는 말이다. 실제로 사회 구성에 있어 가장 많은 민간의 힘을 필요한 부분이 복지분야다. 정부가 아무리 많은 재정지원을 한들 집행과 추진은 민간이라는 점에서 민간을 구성하는 있는 주민들의 의식성향은 자치단체의 역량과도 비례한다는 점이다. 많은 예산과 행정지원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얼마만큼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느냐에 따라 성과의 척도가 표출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민관이 함께 상생하려면 다양한 분야, 계층을 아우를 수 있는 복합적인 사고와 판단, 한 개의 부서가 아닌 융·복합의 시각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점이다. 
100년의 미래산업을 발굴해야 한다는 말은 이제 오늘과 내일이 걱정되는 인구소멸, 존립위기라는 말이 성행할 정도로 이제는 오늘과 내일 당장의 일로 다가오고 있다. 
이제는 현실에서 느끼는 문제를 준비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관점은 내일이 아닌 내업무가 아닌 나와 상관없는 일로 치부하는 것보다는 우리의 문제라는 점으로 인식전환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부분이다.
알면서도 모르척하고 나와는 상관없는 일이라 해서 방관한다면 그 결과는 우리에게 다가온다는 점에서 어떠한 일에 있어 융·복합이라는 시각을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풀뿌리 민주주의 꽃이라하는 지방자치제의 올바른 실현은 하나의 문제가 하나의 시각이 아닌 우리 사회 전반의 문제라는 점이라는 인식속에서 우리의 문제로 인식하고 해결하려는 노력이 그 어느때보다 필요한 시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