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버스 파산위기 직면

보은교통 경영난 심각 군과 의회에 탄원서 제출

1997-12-27     곽주희
IMF여파에 따른 대폭적인 유가인상으로 농촌지역 버스업체가 2개월째 직원임금을 지불하지 못하는 등 심각한 경영난으로 지원대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공영버스 4대를 포함 버스 22대로 38개 노선을 운행하고 있는 보은교통(주)에 따르면 지난 8월15일 경유값이 ℓ당 325원에서 475원으로 인상되었고 지난 19일 다시 618원으로 90%가 인상됨에 따라 부채가 누적되는 등 파산위기에 직면했다는 것.

보은교통(주)측은 경영합리화를 위해 차량 감차와 인원을 감축하는 등 자구노력을 기울였지만 수년전부터 농촌인구의 감소, 자가용차량의 증가, 경로승차권제도의 폐지에 따라 승객이 급격히 감소한데다 차량고급화, 보험한도 확대등으로 적자가 주적, 현재 부채가 13억원으로 2개월째 직원 임금이 체불되고 있는 상황에서 손실분보조등 자치단체의 지원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보은교통은 최근 환율인상에 따라 유가인상분에 대한 추가지출이 연간 약 2억3260여만원이 늘어날 것으로 보여 근본적인 대책없이는 차량운행을 중지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보은교통(주)은 22일 김종철 군수가 유가인상에 따른 농촌지역버스업계의 어려움을 토로하는 한편 23일 유가 인상분에 대한 전액보전 등 적자 대책을 요구하는 탄원 및 건의서를 군과 군의회에 접수했다.

건의서에 따르면 97년도 버스운행에 따른 손실분 3억4300여만원의 전액 보전과 지난 11월 경유가격 기준 인상분에 대한 유가인상분 전액보존등 경영난 타개 대책을 촉구했다. 특히 유가인상분과 버스운행손실분 전액보존이 불가피할 경우 자치단체와의 농언촌버스 공동경영 및 농어촌버스 이용승객의 20%를 잠식하고 있는 농어촌 버스운행노선에 대한 직행버스정류소 21개소의 폐지를 건의했다.

이에 대해 군과 군의회는 "현재 농어촌 버스업계의 경영난 악화는 전국적인 문제로 정부측의 대안없이는 대책이 없는 실정"이라며 "올해 당초 예산 3000만원을 비롯해 3회 추경까지 8000만원의 예산으로 비수익노선에 대한 손실보상을 지급할 계획으로 더 이상의 지원은 어려운 실정으로 회사측과 협의를 통해 원만한 대책을 강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보은교통 관계자는 "오는 26일 전국버스업계의 파업 움직임에 관계없이 자구책을 강구할 계획으로 현재까지 운행중단은 고려치 않고 있다"며 "회사측의 건의사항이 받아들여져 주민들의 생활에 불편이 없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