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가위 차례상차림
생선 동쪽, 고기 서쪽 술 한번 올리고 축 없어
1997-09-13 송진선
풍요로운 수확을 감사하는 뜻에서 새로 나온 과실을 올리고 밥 대신 햅쌀로 빚은 송편을 놓는게 특징이다. 북쪽을 향해 상을 차린 뒤 병풍을 친다. 신위나 지방을 놓거나 사진을 노힉도 한다. 신위를 마주 보는 자리에 제주가 앉는다. 제주 오른 쪽이 동쪽, 왼쪽이 서쪽이 된다. 지방 앞 첫줄에는 수저 도는 수저 그릇(시접), 잔과 받침대(잔반), 송편을 놓고 둘째 줄에는 서쪽 부터 국수, 고기 구운것(육적), 전, 채소적, 어적(조기) 어전, 송편을 놓는다. 보통 어동육서(魚東肉西)라 해서 생산을 동쪽에 고기를 서쪽에 올린다.
생선은 머리가 동쪽으로 향하게 한다. 또 꽁치, 삼치, 칼치 등 끝이 『친』자로 끝나는 것은 쓰지 않는다. 셋째 줄에는 탕을 놓는다. 고기나 생선을 따로 또는 합쳐서 끓여 올린다. 추석에는 보통 토란탕을 올린다. 넷째 줄에는 포와 나박김치, 나물을 놓는다. 포는 북어, 고기, 오징어, 문어말린 것 중 하나를 선택하고 나물은 고비, 시금치, 도라지 등 삼색을 갖춰 놓는다. 가운데 간장도 놓고 동쪽에 식혜를 건더기만 놓는다. 다섯째 줄 즉 바라보는 쪽 맨앞줄에는 과일을 놓는다.
보통 홍동백서(紅東白西)라 하여 대추, 감, 사과 등 붉은 과일을 동족에 밤과 배처럼 흰 과일을 서쪽에 놓는다. 집안에 따라서는 조율이시라하여 대추, 밤, 감, 배 순으로 차리기도 한다. 차례를 지낼 때에는 동쪽에 남자 자손, 서쪽에 여자 자손이 선다. 절을 할 때에는 남자는 왼손을 위로하고 여자는 오른 손을 위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