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은민들레희망연대 “군수 공덕비 당장 거둬야”

보은군 “공덕비 하지 말라고 말렸다…마을에서 추진한 것”

2020-08-13     김인호 기자
삼가~만수

보은민들레희망연대가 삼가~만수 군도 구간에 세워진 군수 공덕비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희망연대는 10일 성명서를 내고 “코로나19와 긴 장마로 고통 받고 있는 보은군민들의 마음을 돌보아야 할 이 엄중한 시기에 정상혁 보은군수의 공덕비가 건립된 사실이 밝혀져 군민들의 공분을 사고 있다”며 공덕비를 세우는 과정에 군 개입설을 제기했다.
희망연대에 따르면 정상혁 보은군수 공덕비는 지난해 2019년 8월 22일 보은군 속리산면 삼가1.2리와 도화리, 구병리, 만수리 5개 마을을 잇는 삼가~만수 구간 군도가 확포장 됨에 따라 기념비와 함께 세워졌다. 삼가~만수 구간의 군도는 좁고 굽은 도로로 주민과 관광객들이 이용함에 있어 위험하고 불편함을 초래해 확포장 공사를 모두가 반기는 일이었다.
희망연대는 “그러나 정군수 개인의 재산이 헌납된 사업이 아니다. 또한 군수로서 위민군정을 펼치는 것은 당연한 임무다. 자신을 희생하며 헌신한 결과물이 아니기에 공덕비를 건립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비난했다. 이어 “공덕비가 1년 가까이 자취를 감추었다가 주민소환이 중단되고 여론이 잠잠해지면서 최근 다시 세워졌다는 점은 국민과 보은군민을 우롱한 처사”라고 말을 이었다.
희망연대는 또 공덕비가 세워지는 과정에서 마을주민들의 자발성 외에도 군이 개입했다는 정황이 나오고 있다고 했다. “‘마을주민일동’이라는 명의로 공덕비를 세웠다는 것은 모든 주민들이 합의했다는 것인데, ‘공덕비를 세웠는지 조차 몰랐다’는 마을주민 제보와 ‘공덕비를 세우면 문제가 될 소지가 있어 세우지 않기로 결정했는데, 왜 다시 세워졌는지 모르겠다’는 마을주민 제보가 잇따르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에 더해 “공덕비가 세워진 위치는 군도 옆으로 이는 공공의 재산에 개인을 위한 건축물이 들어설 경우 군의 허가가 있어야 한다는 점, 공덕비문을 마을 주민들이 작성한 것이 아니라 군에서 제공했다는 주민의 제보 등으로 미뤄 공덕비를 세우는 과정에 군이 개입됐다는 의혹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
희망연대는 그러면서 “정상혁 군수는 지금이라도 공덕비를 당장 거두고, 세금으로 이루어진 각종 기념비에 대한 예산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세금 낭비에 대한 책임을 져야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군민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지 않고 ‘이름 남기기’를 멈추지 않을 시에는 군민들의 저항에 부딪히게 될 것임을 직시해야 한다”고 말을 이었다.
군관계자는 이와 관련 “군수님과 우리는 공덕비를 세울 경우 말이 많이 나오는데다 코로나19 등으로 최근 시기가 좋지 않아 안했으면 좋겠다는 의사를 분명히 전달하고 극구 말렸는데도 불구하고 도화리 이장 등 5개 마을 이장들이 주도가 돼 50만원씩 각 마을 갹출로 공덕비가 세워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 지역이 국립공원에 묶여 역대 어느 군수도 못한 일이었기에 2012년 설계 당시부터 사업의 성사를 반신반의 했던 주민들 사이 공덕비 얘기가 나왔었다”고 말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