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주먹구구 진화
官·軍·警 공조 안되고 주민은 나몰라라
1997-04-19 송진선
실제로 지난 13일 마로면 오천리 산102번지에서 발생한 산불도 주민들의 무관심과 지휘체계의 허점 및 군·경과의 공조체계가 제대로 되지 않아 산림피해를 확산시켰다는 분석이다. 오후 1시30분 경 이 마을에 거주하는 독거노인 박모씨(62)가 산림과 연접한 밭에서 농업 부산물과 밭두렁을 태우기 위해 놓은 불이 바람을 타고 순식간에 산으로 번져 산유림 5ha이상이 불에 탔다.
산불 진화를 위해 군용헬기를 1대와 산림청 헬기 1대가 동원되었고 공무원, 주민, 군인 등 약200여명이 동원, 약 8시간만이 오후 9시경 진화했다. 당시 군 공무원들은 비상연락을 취했으나 휴일 관계로 전체 공무원 동원에 어려움을 겪어 군수와 부군수, 내무과장등 약 50여명이 산불 발생 장소에 집결되었다. 그러나 경찰의 경우 마로 파출소 소장을 비롯한 몇 명만이 산불진화 상황만 지켜보았고 군 부대의 경우도 대대장이 현장에 나와 상황을 판단한 다음 뒤늦게 부대원들을 동원했으나 시간적으로 군용헬기 및 산림청 헬기가 거의 불을 끈 다음이어서 진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했다.
더욱이 지역 주민들의 경우 산불 진화와는 상관없이 밭에 비닐을 씌우는 등 무관심을 표면적으로 드러냈다. 이에 대해 군 공무원들은 「얼마 전에 공무원이 산불을 끄다 죽었는데 소방 공무원들과는 달리 군 공무원들은 출동에 따른 수당도 없이 산불이 났을 경우 공무원이 동원되고 있고 산불 진화 1차 지휘는 군 산림과에 있지만 위험부담을 안고 산림과 지휘에 따르는 공무원도 없고 만약 산불을 끄다가 죽으면 공무원만 억울 것 아니냐」면서 「그래도 책임은 모두 공무원한테 돌아오니까 정말 힘이들고 군부대, 경찰과의 공조체제가 잘 이뤄지지 않는 어려움도 크다」고 토로했다.
따라서 주민들은 물론 관·군·경이 공조체제를 이뤄 동시에 비상연락을 취해 인력동원의 어려움없이 초기에 진화할 수 있도록 체제를 만들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