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은교통 적자누적 “파산위기”
2억원대 적자, 경영합리화 모색해야
1997-02-15 보은신문
특히 그동안 승차권으로 지급하던 경로우대증을 지난해부터 현금으로 지급하면서 노인들이 버스이용에 쓰지않고 다른 명목으로 사용하면서 적자폭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 현재 보은시내버스를 이용하는 계층은 주로 통학생이나 65세이상의 노인들이 주승객이지만 방학이나 겨울철 등 일기가 나쁠 경우 이용객이 거의 없이 빈차로 운행되고 있는 실정인데 과거 80년대 인구 12만이던 것이 4만5천으로 급감하면서 농촌지역 시내버스 운영의 어려움을 더욱 부추기고 있다.
게다가 평균 6.3명당 한 대꼴로 자가용을 보유하고 있어 시내버스 이용이 적은데다 유류비가 지난해 대비 약 51%가 증가되는 등 물가상승과 함께 누적된 적자가 사채를 비롯한 이자부담 등으로 경영상태가 최악의 사태에 처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보은교통의 손모씨는 「현 상황으로는 운영불능이고 적자폭이 누적되어 사채를 비롯한 이자부담 등으로 최악의 상태」라고 밝히고 「정부의 대책이 없는 한 도산은 정해진 수순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더구나 얼마전 서울시내버스 사태가 빚은 문제가 농촌지역과는 상반된 실정임에도 정부에서 내놓은 대책안은 획일적으로 적용, 농촌지역시내버스 운영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는게 관련업계의 지적이다. 일례로 각 시군별 손실보상금지급도 타군은 4천만원 이상인데 비해 보은은 2천만원만 지급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위해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가 비수익노선 등에 대한 결손보존 등의 지원과 벽지노선에 대한 관련법규의 확대해석 지원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농어촌버스에 대한 공영화를 추진하거나 경로우대자의 무임승차후 교통보조비를 업체에 지급한다거나 직행버스 50㎞이내 정류장 폐쇄를 하지 않으면 농어촌버스의 경영합리화는 모색키 어려워 파산을 감수해야 해 그에 따른 정부와 자치단체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중론이다. 현재 보은교통은 기사 29명등 48명 직원에 대한 인건비와 운영비로 월평균 1억2천여만원 년간 14억원의 지출요원이 있지만 지난해 수입금은 12억7천8백51만2천5백50원에 불과 약 2억원의 적자를 낸 것으로 밝혀졌다.
어떠한 일이 있어도 서민의 발이 도산한다는 것은 보은 경제의 커다란 손실이며, 막아야 한다는 명제앞에 향후 어떠한 대책이 나올는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