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생이냐 존립이냐
1998-08-29 보은신문
범람한 하천을 예전처럼 원형만을 복구하고 물이 휩쓸고간 자리에 가옥을 다시 신축하는 것이 복구가 아니라 하천의 범람 원인을 제거하고 상습 침수 원인을 밝혀수해로 인한 피해가 재발하지 않도록 특단의 조치를 강구해야 한다.
이번 수해는 우리 보은지역에만 발생한 것이 아니라 전국 곳곳에서 발생해 앞으로 복구를 위한 재원확보를 하는데 있어 100%의 복구비를 지원 받는다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정부지원 복구비의 정도에 따라 삶의 터전을 되살릴 수 있다는 중요성을 인식해 재원확보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이번 복구지원비에 따라 보은경제의 회생 가능성을 타진할 수 있다. 수해복구로 인해 우선적으로 군내 건설업체의 경기활성화가 기대되고 부수적으로 지역경제 활성화를 기대해 볼 수 있지만 자칫 잘못하면 지역자체가 고립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
정부의 지원 결정에 따라 지역경제를 우려한 건설업체들이 군내 업체 우선발주라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당연히 지역경제를 위해 군내 업체를 우선적으로 복구사업에 투입하는 것이 당연한 조치이다. 그러나 군내 모든 업체를 우선적으로 배분한다면 공사경험과 실적이 없어 간판만 걸고 있는 무능력한 업체에도 공사발주를 맡기게 될 것이며 이는 곧 부실시공으로 인한 재발의 가능성을 낳을 수 있다는 것이다. 80년의 보은수해와 이번 수해로 보은은 수해로 유명한 군으로 전락하고 있다. 이러한 보은군의 실정에 누가 투자를 할 것이며 누가 이주해와서 살려고 할 것인가
이번 보은수해는 다시 회생이냐 고립이냐라는 중요한 숙제를 던지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한다면 이번 수해복구 작업이 얼마나 중요한 사업인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지방자치제 실시이후 재정자립도가 취약한 보은군이라는 점에서 정부의 의존에만 목매고 있어야 한다는 사실은 군전체의 존립여부를 가름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삼파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