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 속엔 만권쯤의 서책이 남아있네 : 書懷 / 태재 유방선
한시 향 머금은 번안시조 <132>
2017-06-01 장희구 (시조시인 문학평론가)
묵은 세월 맺힌 한(恨)이 단번에 사라지니
가슴속 만권쯤 되는 책 읽던 기억 새롭구나.
門巷年來草不除 片雲孤木似僧居
문항년래초부제 편운고목사승거
多生結習消磨盡 只有胸中萬卷書
다생결습소마진 지유흉중만권서
가슴 속엔 만권쯤의 서책이 남아있네(書懷)로 제목을 붙여본 칠언절구다. 작자는 태재(泰齋) 유방선(柳方善:1388~1443)으로 조선 세종 때 학자다. 경제에도 능했고 서화 등에 능통했다. 정몽주 권근 변계량을 잇는 학통을 후대에 계승, 발전시켰다. 원주에서 생활하던 동안에 서거정 한명회 등 쟁쟁한 문하생을 길러냈다. 위 한시 원문을 번역하면 [여러 해 문전 골목 풀조차 안 베었더니 / 조각구름 나무 하나 절간과 비슷하여라 // 오랜 세월 맺힌 마음 다 녹아 사라지고 / 가슴 속엔 만권쯤의 서책만이 남아있네]라는 시상이다.
위 시제는 [마음에 쌓인 회포를 쓰다]로 번역된다. 한적한 시골집 풍경을 그대로 나타내고 있는 작품이다. 사람이 자주 드나들면 골목길에 풀이라고 베서 우거지지는 않았겠지만 인적이 드문 집이란 짐작도 하게 된다. 집안에 나무 한 그루만 서 있는데, 나무와 벗하고 있고 있는 조각구름만이 있으니 보잘 것 없는 집이란 뜻이겠다.
시인의 성격은 올곧았던 것으로 전해져 많은 세월 동안 유배생활을 했다. 유배지 영천의 명승지에 ‘태재(泰齋)’라는 서재를 짓고 당시에 유배 또는 은둔생활을 하던 이안유ㆍ조상치 등 문사들과 학문적인 교분을 맺었던 그런 와중에 썼던 시문이 아닌가 짐작된다.
화자는 주변이 한적하여 오랜 세월 맺힌 마음이 다 녹아 사라지는데 유별 젊은 시절 읽었던 서책만이 가슴 속에 남아있다고 술회한다. 책 속에 묻혀서 독서가 생활이요, 글을 짓는 것이 곧 일과였다. 만권 쯤되는 책이면 많은 양의 책이란 뜻으로 그 만큼 많은 독서했다는 가르침이라 하겠다.
【한자와 어구】
門巷: 문전 골목. 年來: 어려 해. 草不除: 풀도 베지 않았다. 片雲: 조각구름. 孤木: 나무 하나. 似僧居: 절간과 같다. // 多生結習: 오랜 세월 맺힌 마음(직역은 뜻이 조금 다름). 消磨盡: 다 녹아 사라지다. 只有~: 다만 ~이 있다. 胸中: 가슴 속. 萬卷書: 만권 쫌 되는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