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산로 ‘일방통행시법운행’ 30일 종료
찬반양론속 전면시행은 군수의지에 달려
2016-09-29 나기홍 기자
시범운행기간 다수의 주민이 “차량흐름이 원활하다”는 이유로 찬성하는 입장이었으나 도로를 접한 상인들은 강한 반대의사를 표명했다.
군에서는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기위해 28일부터 설문조사에 들어갔으나 전면시행을 할 것인지는 보은군의 수장인 군수의 의지에 달렸다.
찬성하는 이들의 입장은 “도로는 자동차가 운행하는 곳으로 운전자의 것이며, 인도는 보행자의 것으로 그 기능을 다하기 위해서 필요하고 일방통행을 해보니 차량흐름이 훨씬 원활하다”는 것이다.
상권이 침해된다는 것에 대해서도 “운전하는 사람이 일방통행을 한다고 해서 사야 할 물건을 사지 않고 가는 사람은 없고 오히려 양방향 통행 때 보다 주차하기가 운전자들에게 덜 미안해 가게 앞에 차세우기가 쉽다”고 주장했다.
이어 “상권이 죽는다는 말에 이해가 가지 않고 군에서도 상권을 살리기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설마 군에서 상권을 죽이기 위해 일방통행을 시행하겠느냐”고 말했다.
보은군관계자에 따르면 보은군은 시장활성화를 위해 2010년 19억 6000만원 을 들여 재래시장 아케이트시설을 완공했고, 2012년에는 13억 4300만원을 들여 종합시장 아케이트시설을 완공했다.
또한, 보은전통시장 주차장, 화장실, 고객쉼터조성에 24억 4000만원을 투입했다.
보은종합시장에도 2014년 9억6000만원을 들여 주차장을 마련했다.
뿐만 아니라, 2014년부터 각각 4200여만원을 지원해 보은전통시장과 보은종합시장의 ‘향수의전통시장만들기’사업을 지원했으며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6억 8000여만원을 투입해 간판이 아름다운 시범거리조성사업을 펼치는 등 시장활성화에 노력하고 있다는 것이다.
반대측 의견은 “정말로 매출이 현격하게 줄어들어 죽을맛”이라면서 “일방통행을 한다고 노점상이나 노상적치물이 없어지지 않기 때문에 일방통행보다는 시장을 마련해 노점상이나 장날에 들어오는 외지상인들을 유도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한마디로 근본적인 대책이 추진돼야지 단편적 방법으로는 대책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시장상인들은 일방통행을 막기 위해 스스로 인도확보를 위한 자정노력에 나선다.
상가번영회는 스스로 아름다운거리를 만든다. 인도를 스스로 치우고 노점상을 정리한다는 등의 5개항의 자정결의를 하고 29일은 상인들끼리 이를 홍보하고 30일에는 군과 경찰서, 상인회가 합동으로 자정결의대회를 갖는다.
스스로 인도를 확보하고 주정차 위반을 하지 않겠으니 일방통행을 시행하지 말아달라는 요구다.
군은 일방통행시범운행이 종료됨에 따라 설문조사 등을 통해 일방통행을 시행여부를 최종결정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