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의 이런 저런 흥취 : 田家雜興 / 미산 한장석
한시 향 머금은 번안시조【97】
2016-07-07 장희구 (시조시인 문학평론가)
서쪽 집에 패어있는 보리이삭 향기롭고
등 푸른 삽살개가 들밥 따라 가는구나
유채꽃 피어오르고 호랑나비 날고 있네.
西舍麥추香 靑尨隨午엽
서사맥추향 청방수오엽
悠揚野菜花 無數飛黃蝶
유양야채화 무수비황접
농촌의 이런 저런 흥취(田家雜興)로 번역해본 칠언절구다. 작자는 미산(眉山) 한장석(韓章錫:1832∼1894)으로 조선 말기의 문신으로 넉넉한 대인관계와 학문으로 어려운 시기에 국정의 깊은 곳에 참여했다. 그의 관직은 승승장구했다. 홍문관제학, 예조판서, 형조판서, 이조판서, 다시 예조판서, 이듬해 3월 함경도관찰사, 1891년에 경기도관찰사를 역임했다. 위 한시 원문을 번역하면 [서쪽 집 보리 이삭 향기로운데, 푸른 삽살개 들밥 따라 가는구나. 유채꽃 아스라이 피어오르고, 호랑나비 수도 없이 날아다니네]라는 시상이다.
미산이 살았던 시대는 동학농민이 일어나서 나라가 매우 어수선할 때였다. 관군의 힘으로 다스리지 못한 조정에서는 청나라 군대를 끌어들이기 위해 이른바 ‘천지조약’을 체결했다. 일본도 자진해서 조선에 군대를 파견하기에 이르는 개화의 물결이 일기 시작하는 시기었다. 자진해서 닫았던 문을 여는 개화가 아니라 타의에 의한 개화가 서서히 일어나고 있었다.
시인은 이러한 시기에 한가한 농촌풍경을 문자로 그림을 그리는 듯이 상상력을 동원한다. 유채꽃이 피어오르는데 호랑나비가 무수하게 날고 있다. 농사를 많이 지어 온 들판이 보리가 익어가는 내음으로 진동한다.
화자는 보리이삭이 한창인데 삽살개가 들밥을 따른다고 했다. 그런 삽살개의 모습을 상상해 보라. 그게 지금의 시대에 있음직한 풍경인가를. 집에서 먹는 밥보다는 들에서 먹는 들밥은 줄인 배가 어서 들어오라고 손짓하고 있다. 화자는 주린 배가 마파람에 개 눈 감추듯이 먹어 치웠던 그 때를 상상하라고 말한다.
【한자와 어구】
西舍: 서쪽집. 麥추: 보리를 탈곡하고 남은 짚. 香: 향기롭다. 靑尨: 푸른 삽살개. 隨: 따르다. 午엽: 일반 ‘낮참’으로 들에서 먹는 들밥.
悠揚: 아스라이 피다. 野: 들. 菜花: 유채꽃 無數: 수없이 많다. 飛: 날다. 黃蝶: 호랑나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