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은군 지방상수도 보급률 절반↓

원갑희 “노후화된 정수장에 전문인력 조속히 배치해야”

2015-10-15     김인호 기자
보은군 2가구당 1가구 이상이 지방상수도 혜택을 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정수장 관리 인력도 기준에 미달, 식수 관리에 구멍이 우려된다.
보은군의회 원갑희 의원과 보은군에 따르면 현재 지방상수도 급수구역은 보은읍, 속리산면, 장안면, 탄부면, 삼승면, 수한면, 내북면 등 10개면 96개 지역에 상수도를 공급하고 있다. 급수인수는 1만6174명(7746세대)으로 상수도 보급률이 46.7%에 불과한 실정이다.
대신 지하수, 계곡수 등 원수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은 소규모수도시설은 226개소, 1만6000여명, 군민의 42%가 사용하고 있다. 소규모수도시설은 정수처리를 간이소독처리에 의존하고 상주인력 운영관리가 되지 않아 먹는물 수질기준 초과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 시설이 많고 분산돼 있으며 보안장비 미흡으로 관리가 취약하고 전기, 모터, 센서 등의 기기 오작동 사례 등으로 수질 불안 요인이 다.
게다가 보은군 상수도 정수시설별 인력배치도 기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수도법 제21조에 따라 정수시설 5000㎥ 이상 2만㎥ 미만은 정수시설운영관리사 2급 1명 이상, 3급 1명 이상 배치하도록 되어 있지만 현재 상수도계에는 정수시설운영관리사 2급 1명만이 시설운영관리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원갑희 의원은 지난주 열린 군정질문에서 “교사리정수장은 36년, 원남정수장은 32년이 지난 노후화된 정수장이기 때문에 전문인력이 관리 운영해야 한다. 2급 한사람의 관리로는 물 관리에 소홀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조속한 인원배치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또 일부 지하수를 원수로 사용하는 마을상수도 및 소규모급수시설에서 자연 방사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며 “소규모급수시설에 대한 수질검사 횟수와 항목을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은군상하수도사업소장은 이에 대해 “지방상수도 보급 확대를 위한 중장기 계획을 보은군수도정비기본계획 변경안에 반영하고 환경부에 승인을 요청했다”며 “이 계획에 따라 2035년 상수도 보급률 94% 목표로 보은상수도 취정수장 이전사업, 급배수관 확장사업 등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우리군 207개 지하수 원수는 리터당 30마이크로그램 이하로 모두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검사되었다”며 “라돈의 경우 물에 의한 영향은 거의 없으며 미량이 있다 해도 폭기시설을 설치하면 100% 처리되므로 우려할 부분이 아니다”라고 방사성 물질 우려에 대해 선을 그었다.
/김인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