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부정감시단 선정결과 논란
선관위, 감시단 선정에 문제없다 탈락자, 부족할 땐 언제고 갑자기 넘친다니
2002-05-25 보은신문
심사기준은 12항목으로 연령, 학력, 경력, 공명선거 캠페인 참여여부, 자원봉사여부, 장비, 기동력, 성별, 읍면 지역안배 등이 참작돼 가장 부합된 이들이 선발됐다고 선관위는 밝혔다. 그러나 부정감시단원서 일부 제외된 주민들은 “교육 및 캠페인, 세미나에 참석할 때 선관위 관계자인 분이 사람이 부족하니 이곳에 오신 분은 전부 활동을 할 수 있고 모자라는 인원은 모방송 등을 통해 모집하는 한편 교육 참석자들에게는 아는 사람들을 홍보해 참석할 수 있도록 부탁했다”고 말했다.
선관위는 최종 감시단원 선정에 앞서 자원봉사자를 모집해 교육 및 캠페인 등을 벌여왔다. 탈락한 이들은 또 “계몽활동까지 참석을 하고 선관위서 발행하는 위촉장까지 받은데다 계몽활동에 필요한 인쇄물까지 받았다는 것”이다. 이들은 “공명선거 자원봉사로 근무할 날을 기다리던 중 아무소식이 없어 선관위에 문의를 했더니 탈락이 되었다. 어떤기준을 두고 선발했는지를 물은 결과 ‘나이, 교육참석률, 휴대폰, 카메라, 차량 등을 소지한 사람들 위주로 선발했다'고 말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선정기준들을 고루 갖췄으면서도 제외된 이들은 이로 인해 분통을 터트리고 있다. 이들 주장의 핵심은 교육받을 때 인원이 부족하다 해놓고 갑자기 인원이 찬 이유가 납득이 안간다는 것이 요체다.
선관위의 관계자는 이에 대해 “지역적 안배를 하다보니 면지역의 감시단원 근무를 희망한 분들은 감시단원으로 다 되었으나 읍지역의 근무를 지원한 사람들은 너무 많아 많이 떨어졌다”고 해명했다.
또 “반장들의 업무 특수성과 추진력 등으로 인해 이들에게서 추천을 받았다. 사람인 이상 기준 자체가 애매한 점도 있겠으나 선정기준에 따라 떳떳하게 선정했다”고 덧붙였다.
/김인호 기자
ihkim0910@boeuni.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