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귀촌, 지원만 바라봐선 성공할 수 없다
2015-06-18 김인호 기자
보은군은 지난해부터 귀농귀촌인들에게 집들이 비용을 지원하고 있다. 작년에는 귀농인 39명에게 집들이 비용을 지원했다. 그런데 귀농인 집들이 비용을 지자체가 지원한다는 소식을 접한 혹자는 다소 놀라운 반응을 내보이기도 한다. 집들이 비용까지 지자체가 지원하는 것에 대해 선뜻 납득하기 어려운 모양이다. 먼저 당사자끼리 풀어 나가야할 융화에 지자체가 개입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이를 환영할 주민이 얼마나 될까 사실 궁금해지는 대목이기도 하다. 중요한 것은 서로의 삶의 방식을 존중하면서 맞춰나가는 것인데 자칫 지원으로 인해 마음보다 형식적인 자리가 되지 않을까 한편으로 우려되기도 한다. 관계 공무원의 말에 의하면 이 사업은 도시민 농촌유치지원 공모사업으로 국도군비가 수반되고 지자체 사정에 따라 실시되는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자체가 있다고 전한다.
보은군은 2011년 충북도 최초로 영농정착 유도와 인구유입을 통한 농촌 활력 증진 및 경제 활성화를 위해 ‘귀농귀촌 지원조례’를 제정했다. 이를 토대로 다양한 재정적, 행정적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귀농인 정착자금, 농기계 구입자금, 농지구입세제 지원, 생활자재 지원 외에도 농가주택 수리비 지원, 장학금, 농가도우미 지원 등이 대표적인 지원책이다.
올해 국민일보가 주최한 귀농귀촌 한마당에 참여, 우수홍보 대상 지자체로 뽑히기도 한 보은군은 도시민유치전담반기구를 운영하고 박람회 참석 등으로 귀농귀촌 유치홍보를 활발히 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 때문인지 보은군의 귀농귀촌 인구가 해마다 늘었다. 2010년 26가구 62명이던 것이 2014년 690가구 1102명으로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이는 점은 고무적이다. 인구유입 시 지자체 교부금도 늘어난다는 점에서 보은군 살림에도 긍정적이다.
귀농귀촌인들에게 각종 지원은 선택이 아닌 필수요소인 시대가 됐다. 그렇지만 당사자들의 정착의지가 공고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지원은 한계가 있고 모래성에 불과할 수 있다. 지원에 의존하기보다 본인의 노력으로 얻어야 할 부분들이 훨씬 더 많고 결실도 알차다. 예를 들어 귀농귀촌인에 대한 교육도 본인 스스로 찾아 나설 줄 알아야 적성에 맞고 효과도 더해진다. 작물도, 유통도, 멘토 선택도 궁극적으로 자신이 판단하고 선택해야 성공할 수 있다. 보은읍 A씨의 경우 서울에서 사업을 하다 건강이 나빠져 10년 전 보은으로 귀농했다. 귀촌과 동시에 지역특성을 살핀 후 대추 2000평을 땀으로 일궜다. 지금은 전문가 못 지 않은 대추에 달인이 되어가는 중이다. 이와 더불어 국산콩 만으로 된장을 만들어 팔며 신용을 쌓고 대기업에 다니는 직장인 연봉이 전혀 부럽지 않는 소득을 올리고 있다. 귀촌해 건강과 소득, 농사짓는 재미 등 세 마리 이상의 토끼를 낚았다. “지원이 우선이어선 안 된다. 자신의 의지가 확고해야 뜻한 바를 이룰 수 있다”란 그의 평범하고도 당연한 한마디가 와 닿는 이유가 뭘까.
/김인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