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정리조트 사업 보은군 결단 지체

은행권, 전제조건 달아 대출 의사 표명

2014-01-09     김인호 기자
사업 착수가 밑도 끝도 없이 지연되면서 보은군의회로부터 결론을 내라는 압력을 받아온 신정리조트 사업에 대해 보은군의 입장 정리가 지체되고 있다.
예정대로라면 지난해 12월말까지 사업시행사인 보은속리산리조트와 사업을 함께 할 지 여부에 대한 보은군의 최종적인 입장을 보은군의회에 보고했어야 하는 사안이다.
보은군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7일 “경제실장 인사 등과 맞물리면서 군수에게 보고가 늦어졌다”며 “이번 주 안으로 은행권 요구 사항 등에 대해 보은군의 책임한계와 문제점 등을 보고하면 결론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은행권은 사업시행사인 보은속리산리조트 법인에게 약 1500억 원을 대출해 줄 수 있다는 의사를 전달하면서 보은군이 이행할 전제조건을 붙인 것으로 전해졌다. 보은군은 은행권이 요구한 단서조항을 수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놓고 최종 입장을 정리할 것으로 보인다.
이 사업은 신정리 369만㎡(약 111만 6000만평) 터에 2015년까지 3712억 원을 투입해 종합관광휴양시설을 조성하는 사업으로 보은군이 토지(전체면적 중 68%, 감정평가 약 40억원)를 제공하고 남광토건, 삼성에버랜드, 우리의, 로하스코, 라벤다힐스, 머지디자인 등 6개 민간업체가 사업을 주도한다는 계획이다.
6개사의 자본금은 보은군이 제공하는 토지를 뺀 250억 원. 보은군 관계자는 “민간업체 6개사 중 비상장사는 빠지고 상장사로 교체됐다”고 말했다.
하지만 보은군의회는 “2006년 사업계획이 나온 이후 줄곧 답보 상태”라며 보은군의 결단을 촉구하고 있다.
보은군 관계자는 “사업을 포기하면 좋은 아이템이나 업체가 나타나지 않는 이상 다시 민자유치를 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김인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