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는 하락세 ↓ 신규주택은 ↑

이평리-주거지로 각광, 인구 두 배 증가
신규 30평형 아파트 1억 5000만원 호가

2013-11-14     김인호 기자
10월 기준 보은군 인구는 3만4295명으로 지난해보다 143명 줄었다. 인구는 줄어드는데 주택수가 가파르게 늘어나고 있다. 특히 아파트와 다세대주택 신축이 눈에 띈다. 한편에선 대형건설사가 보은군에 아파트를 짓기 위해 부지 및 시장 현황을 알아보고 있다는 얘기도 돈다. 주택증가는 무엇보다 핵가족화와 독립세대가 늘어나는 시대흐름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보은군에 따르면 올 10월 말 현재 주택 220세대가 신축 허가를 받았으며 150세대가 준공을 득했다. 지난 6월 준공한 이평리 예지아파트 68세대는 분양을 모두 끝내고 입주를 시작했다. 최근 준공을 본 이평리 하나벨리 빌라도 전체 8세대 중 5세대 분양을 끝내고 잔여세대를 분양 중이라고 한다. 삼산리 구 담배인삼공사 자리에도 10층 규모의 아파트 37세대가 들어선다. 공사가 한창 진행 중인 이 아파트도 이미 절반 이상이 분양되었다는 게 부동산업계의 전언이다.
올해 뿐 아니라 최근 수년간 주택수가 눈에 띄게 증가했다. 다가구의 신축이 두드러졌다. 지난해는 다가구와 다세대 등 모두 10동 128가구가 신축됐다. 두해 전에는 다가구 122세대와 다세대 27세대가 지어졌다. 지역별로는 죽전리, 이평리, 삼산리, 장신리 등에 지어졌다.
특히 신흥 주거지 이평리의 인기가 지속되고 있다. 2008년 400세대 규모의 주공임대아파트가 들어선 이후 신규 주택 물량이 집중되면서 2009년 행정구역이 1리와 2리로 분할됐다. 이평리 인구도 2006년 1529명이던 것이 7년 새 2929명으로 두 배나 증가했다. 대형건설사의 부지 물색도 이평리인 것으로 알려졌다.
보은군도 이평리 개발에 적극적이다. 건설 및 스포츠파크 조성 등으로 인한 인구증가와 개발수요에 대비하기 위해 이평리 주공아파트~보은중~이안리츠빌 아파트를 연결하는 도시계획도로 사업을 지난 7일 완료하고 보은대교도 가설했다.
반면 군 최고의 노른자 땅으로 평가받는 삼산리는 점차 주택지로 입지를 잃어가고 있다. 보은군 최초의 4층 건물이 철거되는가 하면 빈 점포가 늘면서 도심 공동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인구가 하향추세를 보임에도 신축주택이 느는 이유는 뭘까.
의견은 분분하다. 세대분가로 독립세대가 늘고 있다는 점을 우선 꼽는다. 젊은 층이 단독주택보다는 생활이 편리한 아파트나 원룸 등을 선호하면서 업자들도 추세를 따르고 있다는 것이다. 한 주민은 “요즘 짓는 원룸은 이삿짐 나를 필요 없이 몸만 가면 될 정도로 구비할 것 다해놓는다”며 편리함을 들었다. 부동산 업자는 “나이가 들어 농사를 짓기 힘든 분들이 노후대책으로 시내에 살집을 장만하는 점도 있고 통근하는 직장인들이 기거로 돌리거나 교육 등으로 인해 집을 구하기도 한다. 무엇보다 여성들이 오래된 개인주택보다 새로 짓는 아파트나 빌라 등을 선호하기 때문이다”고 했다. 보은신문 광고 관계자는 “개인주택은 매매나 전세가 나와도 잘 나가지 않지만 아파트나 원룸은 나옴과 동시에 거래가 된다”고 요즘 추이를 전했다. 또 “서울 등지에서 보은에 있는 자기 소유의 집을 전세나 매매로 보은신문 광고란에 내놓는 경우가 간혹 있다”고도 전했다.
또 산업단지 조성과 병무청 공익요원 교육원 등이 들어서는 점도 한 요인으로 들었다. 부동산 업자는 “듀라케미가 보은에 들어왔고 고속도로 건설 시 유입인구가 꽤 있었다. 여기에 병무청 교육원이 들어서면 상주인원 100여명이 이곳으로 들어온다. 동부산업단지는 자체적으로 아파트나 기숙사를 짓지만 삼승면 산업단지 조성에 따른 인구유입에 대한 기대도 무시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업자는 “산업단지 분양을 못하면 유입인구에 대한 기대는 물거품이 될 것이다. 때문에 수요예측을 못하고 아파트를 짓고 보면 주택시장이 복잡해질 것”이란 분석도 내놓았다.
주택 담보대출이 용이한 점도 한 요인이란 분석이다. 금융 관계자는 “신규주택의 경우 분양가의 70%까지(금리 4%) 대출이 가능하다. 현금이 부족해도 내 집을 장만할 수 있는 이점이 있기 때문에 신축 붐이 나타나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인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