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의회, 장애인작업장 신축 예산에 칼 빼드나

“노인장애인복지관 내 부지선정 재검토하라”는 주문에…보은군 예산편성 강행

2013-08-14     김인호 기자
보은군의 장애인보호작업장과 장애인엽합회 사무실 신축 예산 10억 원(국도비 6억6000만원, 군비 3억4000만원) 편성에 대해 보은군의회의 반응이 주목된다.
보은군과 보은군의회는 그동안 장애인작업장 신축 부지를 두고 의견차를 좁히지 못한 채 양보 없는 평행선을 달려왔다. 보은군은 장애인 편리 등을 내세워 현 노인장애인복지관 내 자투리 땅(1035㎡)을 최적지로 고수하고 있다. 보은군의회도 사업의 진행순서와 장소협조 등을 이유로 다른 후보지 물색을 주문하면서 맞서고 있다.
보은군이 노인장애인복지관 내 부지(군유지)로 강행하는 것은 장애인단체가 선호한다는 점과 다른 곳에 입지를 마련할 경우 부지매입을 위한 추가비용 때문. 건물이 노인장애인복지관 옆에 들어서면 장애인들이 복지관 부대시설과 식당을 이용할 수 있고 시내권이어서 접근이 용이하다는 것이다. 또한 복지관 아닌 다른 곳의 부지를 선택할 경우 10억 원의 토비매입비를 더 들여야 한다는 점도 주된 이유다.
군 관계자는 “현재 노인장애인복지관에 그려진 주차선은 16대지만 설계 상 40대까지 그을 수 있고 출입구를 서쪽으로 내면 우려하는 주차문제는 해결할 수 있다. 건물 이용자 중 중증장애인(1~3급)이 대다수여서 운전자도 많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보은군은 신축예정지 전체 부지면적 300평의 절반 수준인 건축면적 100~150평(지상 2~3층) 규모의 건축물을 예상하고 있다.
이와 달리 보은군의회는 장래를 보고 일을 추진하자고 주장하면서 주차공간 부족과 활성화시 공간부족, 녹지공간 축소, 노인장애인복지관 이용자들과의 마찰 우려 등을 들어 부지선정 재검토를 요구 중이다. 또 장애인보호작업장 건물을 짓기에 앞서 작업의 종류, 위탁자 선정 등도 주문하고 있다. 군의원 전원이 노인장애인복지관 내 부지는 아니란 공감대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군의원은 “의회는 부지협소로 여러 문제점이 나타날 것이 뻔해 부지를 옮기라고 주문을 하는 것이고 추가매입비가 들어가도 장기적인 안목에서 타당한 곳에 짓는 것이 낫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른 의원은 “의원 8명이 보는 눈이 정확할 수 있다. 의회에서 부지관련 공유재산 취득을 승인해주지도 않았는데 군수가 여러 행사장에서 예정부지가 확정된 것처럼 발언을 하고 있다”며 불편한 표정이다. 또 다른 의원은 “건물 내에서 어떤 사업을 하고 내용물을 담을지 구상도 못 내면서 건물부터 지으려한다”며 군 행정을 질타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추경안 제출을 앞두고 보은군장애인연합회도 최근 현수막을 내걸어 “노인장애인복지관 내 부지가 최적지”라며 군의회의 빠른 결정을 촉구하는 목소리를 키우고 있다. 이 단체는 이에 앞서 의회방문과 기자회견을 열고 “장애인회관과 장애인보호작업장은 실제 사용할 장애인들의 입장에서 추진되어야 한다”며 “주차장 협소 등은 이유가 될 수 없고 각종 편의시설과 식사까지 해결할 수 있는 현재 노인장애인복지관 부지가 최적의 장소”라고 입장을 강조, 장애인작업장 신축에 대한 예산10억 원 심사가 녹록치 않은 듯하다.
보은군의회(의장 이달권)는 오는 20~23일 임시회를 열고 보은군이 편성한 2차 추경예산을 심사한다. 회기 첫날 특위를 구성하고 마지막 날인 23일 본회의에서 처리할 예정이다.
/김인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