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남ㆍ금강청 30년만에 한자리

회남이장협의회 “오폐수 유입으로 대청호 수질 저하”
금강청, “하수도정비계획안에 회남면 포함 추진할 것”

2012-11-29     김인호 기자
금강유역환경청이 하수처리시설 설치를 요구하는 회남면 이장단과 지난 22일 진솔한 대화를 나눴다. 30년 만에 처음 회남면민의 소리에 반응하고 경청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
금강환경청 김진수 과장은 이 자리에서 “대청댐 상류지역인 회남면이 현재 진행 중인 하수도 정비 기본계획안에 포함될 수 있도록 적극 검토 하겠다”고 말했다. “여러분의 요구가 수용될 수 있도록 긍정적 검토를 할 요량으로 왔다. 다만 제재 법(하수처리시설제한)은 무분별한 개발을 우려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개발이 아닌 차원이라면 하수처리시설을 지원하는 방안에 망설이지 않겠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동안 하수처리시설 설치 우선순위에서 밀린 회남면이 이 계획안에 포함되면 국고보조사업으로 주민들의 오랜 숙원사업인 오폐수처리시설을 지을 수 있는 토대가 갖춰진다.
회남면 이장협의회는 이 자리를 갖기에 앞서 주민 700여명으로부터 서명을 받은 하수처리시설 설치를 위한 건의서를 지난 5일 금강유경환경청, 환경부, 충북도청 등 관계기관에 전달했다.
건의서는 “오수가 대청호에 직접 유입되는 회남면은 인구가 적고 오폐수 배출량이 1일 50㎥미만이라는 기준 때문에 지원 사업에서 제외돼 있다. 이 때문에 오폐수 처리시설을 해야 할 경우 개별적으로 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비와 관리비가 큰 부담”이라며 “지역의 특성을 감안, 3~5개 마을씩 묶어 중소 규모의 하수처리시설 설치사업이 지원 가능하도록 현행 제도와 기준을 개선해 줄 것”을 요구했다.
회남면 이승주 이장협의회장은 “수 십리 떨어진 곳의 오폐수 유입은 실개천과 하천을 흘러가는 동안 자연정화가 어느 정도 이뤄지기 때문에 오히려 배출량은 적지만 수변구역에서 직접 유입되게 되어 있는 우리지역의 오폐수가 더 수질에 악영향을 준다”며 “댐 주변지역의 수질이 오염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막기 위해서라도 하수처리시설이 설치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금강환경청이 마련한 이날도 다양한 의견들이 쏟아졌다. 판장 1리 이장은 “대청댐에 녹조현상이 나타나는 근본 원인은 물이 정체된 데다 녹조에 유익한 영양분이 흘러들기 때문”이라며 “주민이 건의하기 전에 환경청 스스로가 사이폰(문순환시설)과 하수처리시시설 등을 설치해야 옳다”고 말했다.
사음리 이장도 “개인 정화시설 관리가 어려워 환경업체에 위탁했음에도 처리가 잘못돼 벌금을 부과 받은 적이 있다. 상수도보호구역 경계인 회남은 특별대책지역으로 하수처리시설은 당연히(국가가) 해줘야 한다”고 토로했다.
이밖에도 ▲전기료로 인한 개인의 하수처리시설 가동의 어려움 ▲건물, 화장실 하나 못 짓는 지역 소외감 및 홀대 ▲탁상행정 탈피 ▲태양광 시설 요망 등 불편한 심기를 거론하면서 조속한 하수처리시설 설치를 촉구했다.
회남면 이장단은 이와 함께 충북도가 관리하는 회남면 분저리~은운리 간 지방도 502호 도로도 확포장해 줄 것을 요구하는 호소문을 이시종 도지사에게 전달했다.
회남면 주민들은 건의서에서 “아무리 인구가 적고 작은 지역이지만 이제는 푸대접에서 벗어나 충북에서 골고루 혜택을 받고 살아갈 수 있도록 남은 구간 6.2㎞에 대해 조속한 확포장 사업을 추진해 달라”고 호소했다.
회남면 분저리~은운리 간 비포장도로는 조곡리에서 분저리까지 8㎞가 2006년 완공되었으나 이후 잔여구간인 6.2㎞가 수년째 산길로 남아 있다. 이로 인해 은운리 주민들이 버스로 20분이면 면소재지까지 오갈 수 있는 거리를 옥천군 안내면을 경유, 보은읍으로 돌고 돌아 무려 2시간 이상 허비해야 하는 불편을 겪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인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