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NG복합화력발전소 대책위
피해사례 못찾아 부심…동두천 견학후 반투 개시

2012-10-11     김인호 기자
보은산업단지 내 발전소 유치를 반대하는 LNG복합화력발전소 대책위원회(위원장 강인향) 위원 30여명은 지난 6일 삼승면 주민자치회의실에서 대책 회의를 가졌다.
대책위는 이날 충남 당진시에 위치한 3500MW 규모의 당진화력발전소(유연탄화력발전소)와 GSEPS(1080MW 규모 LNG복합화력발전소) 두 곳을 다녀온 결과를 보고하면서 향후 활동방향을 모색했다.
견학 결과 “당진지역의 발전소 자체가 해변가에 위치하고 있고 주변에 농작물이 거의 없을 뿐 아니라 민가도 찾아보기 힘들었다”며 “인근 주민 및 농작물에 대한 피해가 있다고 해도 주변 여건상 발전소 때문인지 공단 때문인지 구분이 되지 않는 상황”이라고 대책위는 설명했다.
대책위원 8명은 지난 4일 발전소 주변 농작물 피해여부 및 사례를 수집하고 주변 지가 변동 및 거래 동향, 주민불편사항 등을 알아보기 위해 당진시를 다녀왔지만 피해사례 수집에 실패했다.
대책위 관계자는 “당진화력발전소에서 4.8㎞ 떨어진 사과농장을 방문했지만 잘 모르겠다는 말만 들었다. 주변이 과수원과 농업인 우리와는 전혀 다른 해안가에 발전소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피해사례 파악이 안 된다”며 답답함을 호소했다.
앞서 방문한 영월 지역 또한 산골분지형으로 주변에 농작물이 별로 없어 피해여부 파악이 곤란한 여건이었다.
그러나 대책위는 “LNG복합화력발전소가 보은산업단지에 설치되면 전자파유도장해로 인한 암 유발과 발전소 쿨링워터 사용에 의한 수온증가, 배출수증기에 따른 백연현상, 일조량 감소 및 안개피해, 서리피해, 착색불량, 지가하락, 농업용수 부족 등 피해가 예상된다”며 대책을 강구해 나가기로 했다.
강인향 대책위 위원장은 “만일 삼승이 발전소 입지로 선정되면 사과나 축사의 피해가 불가피한데도 농업과 과수원 지역의 피해사례를 찾지 못해 답답하다.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근본적인 해결 방안은 보은군이 오는 12월 지식경제부 심사에서 제외되는 것”이라며 피해사례 수집에 위원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다.
대책위 사무국장도 “농민입장에서 피해사례를 들어보고 싶지만 발전소가 위치한 지역들은 해안가로 보은군과 여건이 틀리다. 반대할 근거를 명확히 제시해야 명분과 설득력을 가질 수 있는데 피해 자료를 수집 못해 참으로 답답하다”고 하소연했다.
대책위는 이날 3시간 가까이 추후 활동방향에 대해 논의했지만 실마리를 얻기보다는 사안을 대하는 강온 시각차를 확인한 셈이 됐다. 이날 대책회의에서는 ‘반대서명운동’ ‘신문광고에 입장 게재’ ‘피켓시위’ ‘사이버 활동 강화’ ‘군청 항의 방문’ ‘군민체육대회 불참’ 등 여러 의견들이 개진됐지만 일단 동두천 지역 방문을 통해 발전소 건설로 인한 피해 자료를 확보한 후 서명운동 등 물리적 행동으로 유치반대 입장을 극명하게 전개해나가기로 했다.
/김인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