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은군 호국원 유치에 비상
구인 “농경지가 다수로 살길이 없다”며 유치반대
군 차원 유치 운동에 제동 … 군, 방향수정 모색
2012-04-12 김인호 기자
보은군은 호국원 유치를 위해 WK리그 여자축구 보은 개막식이 열린 지난달 26일 보은공설운동장에서 관람객을 대상으로 서명운동에 착수했다. 또 각 실과와 읍면사무소를 방문하는 민원인과 방문객을 상대로 서명을 받는 한편 유치 당위성을 홍보하고 있다. 아울러 각 사회단체의 참여와 협조로 범 군민서명 운동을 전개하고 서명 결과를 국가보훈처에 전달할 방침이었지만 해당지역 주민의 반발로 궤도수정이 예상된다.
보은군이 호국원 유치 후보지로 내세운 구인리 마을 주민들은 “호국원이 들어서면 먹고 살길이 막막하다”며 지난 5~6일 보은군청에서 1인 반대 시위를 벌인 후 6일 군수와 면담을 통해 당분간 시위를 보류하기로 했다. 대신 보은군도 주민 피해가 없도록 적절한 조치를 강구한다는 데 뜻을 모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 마을 배근봉 이장은 6일 정상혁 군수와 면담 후 “호국원 대상지에 주민의 농경지가 85% 이상 속해 있다는 새로운 사실이 돌출됐다. 주민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보훈처와 상의할 것이라고 정 군수가 말했다”며 “그래도 안 되면 릴레이 시위를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배 이장 및 마을 주민에 따르면 호국원 후보지로 처음엔 35만평 예상했다가 20만평으로 줄어들면서 65가구가 상존하는 구인리 주민의 땅만 포함됐다.(하천부지 300여평 제외) 호국원 예정 부지 중 30~40%가 산지이고 60~70%가 농경지다. 그것도 경지정리한지 몇 해 안 되는 절대농지가 대부분이란 설명이다.
주민은 “땅도 땅이려니와 후보지에 물이 많이 나와 국가유공자를 모시는 자리로도 적합지 않다”며 “군 입장에서는 호국원 유치에 따른 인센티브 등 경제적 가치가 있어 구미가 당기겠지만 구인리 입장에선 생명수인 농경지가 절대 다수라서 찬성할 수 없다”고 말했다.
호국원이 유치되면 주민들이 보상을 받고 땅을 살수도, 대토할 수도 있겠지만 대대로 농사짓고 살아온 구인리 마을과 멀리 떨어진 곳에서 농사지으며 살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게 주된 이유다.
군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호국원이 유치되면 충남북 국가유공자 5만기 정도가 안장될 것으로 안다”며 “군 차원에서의 유치운동은 지양하고 보훈처의 결정을 기다릴 것”이라고 말했다.
호국원은 국가보훈처가 803억 원을 들여 2016년까지 건립할 예정이다. 중부권 후보지로는 보은군과 괴산군 문광면 두 곳으로 압축돼 이르면 올 상반기 중 확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보은군은 청원~상주고속도로 속리산 IC에서 5분 이내 거리에 있는데다 경사가 완만한 지형이어서 토목공사비 등 개발비용이 적게 드는 비용이 부각되고 있다. 괴산군도 문광면 일대의 땅값이 싼데다 지역 주민들의 찬성으로 민원 발생 가능성이 없다는 점이 강점으로 꼽히면서 경쟁에 뛰어들었다.
정 군수는 한때 호국원 유치를 위해 정치논리에 휘말릴까 민주통합당 입당을 늦추기도 했다. 연초 읍면 순방 이장회의에서는 “호국원 공사비용만도 1200억 원에 달하며 방문객이 연간 1200만 명으로 이들이 사는 꽃값하며 먹고 쓰는 비용을 감안하면 지역에 미치는 경제파급력이 대단히 알찬 사업”이라며 호국원 유치에 각별한 관심을 보였다.
/김인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