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은평통이 독도교육를 취소했다.
2009-09-03 김인호 기자
신문은 독자 투고란에서 독자의 의견을 받아 가감 없이 내보낼 수 있듯 취재기자도 기자수첩이나 사설란을 통해 취재현장에서 보고 느낀 점을 실을 수 있다. 팩트(사실)만을 따는 스트레이트 기사와는 달리 이땐 사견도 들어갈 수 있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때문에 박스형인 삼파수는 신문사나 기자의 생각들이 독자를 이해시키는 수단으로 활용된다. 이 공간의 옳고 그름의 판단은 독자에게 달려있으며 더불어 신문사의 수준도 엿볼 수 있는 마당이기도 하다.
이날 삼파수를 작성하게 된 계기는 8월 24일 한 일간지의 기사를 토대로 진위를 직접 확인한 다음 앞서 7월24일 열린 민주평통자문회의보은군협의회 정기회의 배포된 자료를 입수해 작성했다는 점을 밝혀둔다. 따라서 회의에 참석한 자문위원들이 누구보다 근거의 정확성 여부를 잘 알 것으로 확신한다. 또 삼파수에서 직접 명시하진 않았지만 ‘평통 예산이 도마위에 올랐다든’가 ‘군비지원 재고 등의 지적을 곱씹어보아야 할 것’이라고 한점은 앞서 보도된 기사임을 우회적으로 표명했다.
당시를 돌이켜 보은군 민주평통의 올해 예산 2670만원 중 보은군의 지원금이 1700만원(64%)이고 자문위원들의 자부담이 680만원(25%)다. 총예산 가운데 독도 현장답사 교육에 투입될 비용은 전체 예산의 60%인 1530만원인 것만큼은 한 치의 오차 없는 사실이었다. 이 가운데는 교육비를 제외한 비용의 96%가 교통관광비로 책정됐다. 자비 340만원이 있으니 100% 무료 관광성 교육은 아닌 셈이다. 완전 자부담이라면 거론할 대상도 아니며 비용을 임의로 늘린 것도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해둔다.
지난해 실시한 개성공단 통일교육과 관련해 오가는 도중 음주가무가 없었는지 되레 묻지 않을 수 없다. 또 올해 예산편성을 의식해 개성 체류일정을 하루 늘려 다음날 아침에 돌아오지 않았는가. 개성공단은 통일의 상징적 의미 뿐 아니라 북한체험이란 느낌표가 있겠지만 독도는 통일교육과 관련이 있는지 갈 의미가 담긴 곳인지는 독자나 평통측이 판단할 몫이었기에 거론하지 않았다. 분명한 것은 예산의 96%가 교통관광비용이란 점이다. 교육을 빙자한 관광성 프로그램이란 오명을 들어도 결론적으로 할말이 없다는 점을 언급했다.
평통측은 보도 이후 “울릉군에서 운영하는 ‘2009년 공무원 독도아카데미’ 프로그램(자부담 35만원)에 맞춰 교육을 시행할 계획”이라고 했는데 설령 이 프로그램이 평통이 원하는 교육에 매우 부합하다해도 이는 공무원 희망자를 대상으로 하는 아카데미지 평통자문위원 대상이 아니며 일정에 불과해 별도로 게재할 내용도 아니다.
평통측 관계자는 지난달 28일 이번 독도교육을 아예 백지화하고 이 예산을 다른 용도로 전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렇기에 삼파수 보도가 나가기에 앞서 이 교육이 먼저 취소가 된 사안이었다는 평통측의 설명에 대해 시의성 측면에서 서운할 소지가 다분히 있다고 본다. 하지만 삼파수는 스트레이트 기사가 아니었다는 점과 일주일에 한번 나오는 주간지임을 강조하고 싶다. 또 이 같은 교육이 보은에만 있는 것도 아닌데 ‘왜 하필’이란 서운한 일부 당사자들의 심정도 이해 못할 바 아니다.
그러나 기자의 입장에서 감정을 이입시켜 지어낸 말도 아니고 정기회 자료를 갖고 분석한 후 다녀온 사람의 말을 들어 예산편성에 신중을 기하라고 쓴 소리한 것을 놓고 ‘편협하다’, ‘신문구독 사절’ 운운한다면 아첨하는 소리만 내뱉으란 말인가. 궤변으로 다짜고짜 트집 잡는 것은 독도못가 투정부리는 것으로밖에 안 들린다. 당당한 교육이라면 짖는다고 못할 교육인가.
/김인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