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내 학생수 급격히 감소
70년 2만6686명, 현재 5876명으로 2만여명 감소
2001-12-01 곽주희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70년 초·중·고등학교 학생수는 2만6686명(초등 2만3037, 중등 2894, 고등 755명)·40개교(초등 32, 중등 6, 고등 2개교)·490학급(초등 428, 중등 48, 고등 14학급)·568명(초등 466, 중등 70, 고등 32명)의 선생님이 재직했으며, 75년에는 2만7472명(초등 2만98, 중등 6255, 고등 1119명)·45개교(초등 36, 중등 7, 고등 2개교)·564학급(초등 437, 중등 102, 고등 25학급)·679명(초등 481, 중등 148, 고등 50명)의 선생님이 재직했었다. 80년에는 70년에 비해 학생수는 2968명이 감소한 2만3718명(초등 1만3512, 중등 7039, 고등 3167명)에 48개교(초등 37, 중등 7, 고등 4개교)로 초등학교 5개교와 중학교 1개교, 고등학교 2개교가 신설됐으며, 62학급이 늘어난 552학급(초등 381, 중등 116, 고등 55학급)에 149명이 늘어난 717명(초등 447, 중등 169, 고등 101명)의 선생님들이 재직했다.
그러나 11년 후인 91년에는 80년에 비해 1만1810명의 학생이 감소한 1만1908명(초등 5747, 중등 3354, 고등 2807명)에 37개교(초등 26, 중등 7, 고등 4개교)로 초등학교 11개교가 감소했고 182학급이 감소한 370학급(초등 232, 중등 77, 고등 61학급)에 74명이 줄어든 643명(초등 304, 중등 189, 고등 150명)의 교원이 학생을 가르쳤다. 91년후에도 학생수는 계속 감소해 93년 학생수가 1만명 이하인 9847명을 나타냈으며, 95년 8549명 등 올해는 91년에 비해 6032명이 준 5876명(초등 2684명 - 남 1405·여 1279명, 중등 1478명 - 남 762·여 716명, 고등 1714명 - 남 863·여 851명)이고 학교수는 초등학교 10개교가 감소한 27개교(초등 16, 중등 7, 고등 4개교)로 129학급이 줄어든 241학급(초등 145, 중등 49, 고등 47학급)에 215명의 선생님이 줄어든 428명(초등 201명 - 남 97·여 104명, 중등 123명 - 남 69·여 54명, 고등 104명 - 남 74·여 30명)이 학생을 가르치고 있다.
군내 초·중·고등학교 학생의 경우 아직까지 남자학생이 여자학생보다 조금 많은 것으로 나타나 이직도 남아선호사상이 남아있음을 알 수 있으며, 교원의 경우 초등학교는 여자선생님이 남자선생님보다 더 많고 중·고등학교는 남자선생님의 비중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폐교 및 분교장으로 격하된 초등학교는 지난 82년부터 초등학교 1개교가 폐교 및 분교장으로 격하되기 시작해 83년 2, 84년 2, 90년 3, 91년 3, 92년 1, 93년 2, 94년 2, 97년 1, 98년 1, 99년 2, 2000년 1개교 등 총 21개교 중 폐교된 학교 15개교를 읍·면별로 보면 마로면이 3개교(기대, 소여, 적암)로 가장 많고 회남(분저, 법수)·산외(이식, 산대)·회북면(회룡, 회동)이 각각 2개교, 내북(이원)·탄부(보덕)·수한(동정)·외속리(장재)·내속리면(북암)·보은읍(중초)이 각 1개교씩이다.
또 분교장으로 격하된 학교는 보은읍(학림), 내속리면(법주, 삼가), 탄부면(사직), 내북면(아곡), 산외면(장갑) 등 총 6개교이다. 폐교된 학교들은 임대를 통해 평생교육 및 요가·교회·청소년·자연학습 수련원, 직원 연수원, 건축학교, 향토미술박물관, 버섯재배, 향토양어장, 자판기 조립공장, 토종약용식물연구 및 교육장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